=> 이를 해결하기 위해 CGV는 OTT의 성장으로 인한 관객 분산을 인정하고, 타 회사와의 협업(ex. 최근 야구시즌을 맞아 KBO⚾️와 협업), 미래형 AI 영화관 구축에관한 업무 협약 체결, 필름콘서트, 팬덤을 겨냥한 영화 상영 등으로 다방면으로 전략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1. 3개월 기준으로 유지되는 구독모델을도입하여특정횟수의영화를관람할수있는패키지를비교적저렴한가격에제공,고객락인효과를극대화하고반복방문을유도한다.
2. 구독 모델은 봄(3~5월), 여름(6월~8월), 가을(9월~11월), 겨울(12월~2월)로 구분되는 기간제 요금제 형태를 기반으로 하며, 개인 맞춤형 혜택(ex. 고객의 관람 이력, 취향을 반영한 AI 분석을 통해 - 선호 장르, 감독, 배우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 영화를 추천, 관련 시사회나 굿즈에 대한 할인 제공, 시사회 우선 참석권, 특별 상영관 이벤트 등)로 현재의 회원제*가 지니는 이용률, 특정 이벤트 보상 등을 반영하는 포인트 기반의 등급 산정 + 개인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혜택 제공에서 벗어나고객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현재의 회원제 : 포인트를 기준으로 일반/VIP/RVIP/VVIP/SVIP로 구분되는데, 매표,매점, 씨네드쉐프 F&B, 오프라인 씨네샵에서 구매한 금액 기준 및 이벤트 보상이 합산되어 반영되고 있다. 각 등급에는 일반 등급과 VIP등급을 제외하고는 각 등급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 따로 수반된다. 혜택으로는 영화 무료 쿠폰, 매점 무료 쿠폰, 매점 할인 쿠폰, 스페셜 데이 에이드 제공, 스페셜 기프트, 특별관 1만원 관람, 전용 참여 이벤트 등이 각 등급별로 상이하게 제공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 https://share1.tistory.com/2177, CGV 멤버십 VIP라운지 등급별 선정 기준 및 혜택 안내
STEP 05 . 이문제가해결되면,이후‘ 어떤효과’ 가창출되나요 ?
1. 시즌별 구독 모델을 통해 수익을 확보하고 고객의 영화 관람 횟수 및 방문 빈도를 증가시키며 이는 자연스럽게 굿즈 판매나 이벤트 참여, F&B를 통한 추가적인 수익 창출💰로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2. CGV는 극장 업계 최초의 독자적 시즌 구독 모델을 도입하여 프리미엄 영화관 이미지를 강화하고, AI와 신기술 기반 맞춤형 영화 경험을 주도하게 됩니다.
3.프리미엄혜택을통해고객의영화관경험만족도와동시에브랜드에대한선호도를높일수있습니다.
STEP 06 . 그래서! 기획의목표는이렇습니다.
2웍원의 비용으로
해당 기획은 아래와 같은 비용이 생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 결제 플랫폼을 활용 : 약 5000만원 마케팅 : 약 5000만원 혜택 지급에 들어가는 비용 : 약 1억원
1년 내 구독 회원 30만 명 확보
이번 CGV 구독형 멤버십 서비스 도입의 목표는 1년 내 구독 회원 30만 명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CGV의 연간 관람객6,000만 명 중 핵심 고객층인 연 6회 이상 관람 고객 500만 명을 주요 타겟으로 하여, 약 6%의 구독회원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성의 확보로 충분히 나아갈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CGV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화하고, 구독형 서비스의 차별화된 기본 혜택으로 선착순 시사회, 한정판 굿즈 제공 등의 요소를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획자로서, 해당 기획은 CGV의 위기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새로운 구독 요금제의 도입으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