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어릴 때 배운 엑셀… 다 까묵었다…하지만 나두다시엑셀! 😤📊

        by 정민아 | 숙명여대 | 기계시스템 | 현대자동차 2025. 4. 4.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기획Resource] 오빠두엑셀 : 너, 실무자 99%가 사용하는 기획 도구를 못 쓰면, 기획자가 아닌거잖아..?

        유닛 코드 : PXO-302, 선택형

         

        졸업도 해야 하고, 취업도 해야 하는...

        그야말로 "컴활" 필수 시대에 살고 있는 취준생 등장이요~!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선택형 유닛을 앞두고,

        기획 Tool 파트를 마무리한 뒤 오랜만에 다시 Resource 영역으로 돌아왔습니다 :)

         

        이번에는 컴퓨터 활용능력 시험은 물론이고, 실생활에서도 무조건 배워야 한다는 그 기술!

        바로 엑셀(Excel)을 공부해보려 합니다!! ✨

         

        사실 저, 초등학생 때 엑셀을 살짝 배운 적은 있는데요...

        네... 기억은 안 나요. 다 까먹었어요. 진심입니다. 😇

         

        그래서!

        직장인들 사이에서 엑셀의 구원자라고 불리는
        바로 그 유튜브 채널,

        ‘오빠두엑셀’을 통해 다시 차근차근 배워보겠습니다~

         

         

        https://youtube.com/@oppadu?si=69L3-Y3n77ZupACF

         

        오빠두엑셀 l 엑셀 강의 대표채널

        오빠두엑셀은 직장인을 위한 엑셀 강의 유튜브 채널입니다. 영상을 보시면서 부족한 부분이나 개선사항이 있을경우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을 남겨주세요. 항상 실무에서 필요하고 도움이되는

        www.youtube.com

         


         STEP 01.   필수기능 중 하나인, 엑셀 '슬라이서' 기능 🔪 

         

        혹시 여러분, 노션 자주 쓰시나요?
        저는 요즘 과제며 기록이든 거의 다 노션으로 하는 편인데요 👩‍💻

         

        다시 엑셀을 배워보면서 Step 1로 도전한 기능은

        바로 ‘슬라이서 🍰 ’ 기능입니다!

         

        왼: https://images.app.goo.gl/C3uQm9Wzzfctdiy2A / 오: https://images.app.goo.gl/dMMRceiH2ohsSRsKA

         

        처음엔 이름부터 살짝 낯설었는데,
        써보니까 어라? 이거 노션의 ‘다중 선택 필터’랑 거의 비슷하잖아?!😲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ㅎㅎ

         

        그 덕분에 슬라이서도 금방 감 잡을 수 있었답니다!
        (결론: 무서운 건 이름뿐이었다…😅)

         

         

        ✔️ a) 직접 슬라이서를 적용해본 과정 설명 ; 과정    

         

         

        슬라이서 적용 과정은 이 영상을 참고하시면 되는데요,

        (5) 퇴근이 최소 1시간 빨라지는 직장인 엑셀 필수 기능! - 슬라이서 1분 정리 #shorts - YouTube

         

         

        저는 요즘 넷플릭스 작품에 빠져있어서

        GPT에게 넷플 작품으로 표를 만들어달라고 하였습니다🤫

         

        슬라이서를 적용하고 싶은 표의 부분을 드래그 하고,

        단축기 'Ctrl+T'를 누르고, '확인' 버튼을 부르면!

         

        이렇게 나오게 됩니다~

         

        이후에 '표 스타일'에서 맨 왼쪽 위의 기본 디자인을 선택하고,

         

         필터에서 '슬라이서' 삽입을 클릭하고,

        필터를 적용할 범위를 선택한 다음

        확인 버튼을 눌러 마무리하면 끝!

         

        저는 코로나 시기에 나온 작품만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2020년 이후부터만 선택을 해보기도 하였습니다ㅎㅎ

         

         

        ✔️ b) 위 a)를 완료한 슬라이서 기능의 동작을 영상으로 첨부 ; 결과

         

        이번엔 위 슬라이서 기능을 다양하게 써보는 동작을

        영상으로 첨부해보겠습니다 :)

         

         

        ✔️ c) 위 과정을 진행해봄으로써슬라이서를 본인의 기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항과 느낀점 작성 


        슬라이서 기능을 직접 사용해보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데이터를 바라보는 시야가 확장된다는 것이었습니다. 🔍 넷플릭스 콘텐츠 데이터를 기준으로 공개연도, 국가, 장르에 따라 슬라이서를 적용해본 결과, 하나의 표 안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 특히 코로나 시기인 2020년 이후에 공개된 작품만 확인하거나, 특정 국가에서 제작된 범죄 장르 작품만 골라보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면서, 엑셀이 생각보다 훨씬 유연하고 강력한 도구라는 사실을 체감하였습니다. 

        슬라이서는 보기 쉬운 버튼 형태로 필터를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데이터를 더욱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각적인 인터페이스 도구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 그동안 엑셀을 사용할 때는 데이터를 정리하거나 간단한 수식을 적용하는 정도에 그쳤지만, 슬라이서를 직접 사용해보니 정보를 '찾아보는 방식' 자체를 기획자 관점에서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꼭 익혀야 할 기능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이번 경험을 통해, 앞으로 기획하게 될 서비스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이와 유사한 필터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겠다는 구체적인 아이디어도 떠올랐습니다. 🧩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을 직접 선택해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설계할 때, 슬라이서와 같은 방식의 UI 요소를 참고하면 이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정보 제공에서 그치지 않고,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데이터 흐름을 설계하는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이었다고 느꼈습니다. 🛠️📈

         STEP 02.   엑셀 '스마트 아트'를 활용한, 조직도 👨‍👩‍👦‍👦 

         

        저는 그동안 타진을 하면서 기획제안서를 제작할 때,
        PPT의 SmartArt 기능을 정말 자주 활용해왔는데요.

        복잡한 내용을 정리할 때, 시각적으로 구조를 표현하기에 정말 유용한 도구였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SmartArt를 엑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엑셀이라고 하면 ‘표만 쓰는 도구’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엑셀에서 도형을 어디에 넣는 거지? 표 한 칸에?” 같은 의문이 들 수 있죠.

         

        노놉! ❌


        엑셀에서도 SmartArt를 활용해 다양한 시각자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Step 2에서는,

        SmartArt를 활용해서 조직도를 직접 그려보는 실습을 해보려고 합니다!

        엑셀 "조직도" 10초 안에 만드는 방법 #직장인엑셀 #shorts - YouTube

         

         

         

        ✔️ a) 직접 스마트 아트를 활용해 조직도를 만들어본 과정 설명 ; 과정

         

        출처: '미생' 나무위키

         

        저는 <미생> 드라마의 '원인터네셔널' 회사의 조직도를 참고하여,

        엑셀에서 스마트아트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사정상 모든 부서를 하지는 못하고, 어느 정도만 표로 입력한 다음

        '삽입' 'SmartArt'를 누른 후에

         

        "계층 구조형"을 선택합니다!

         

        상단의 '텍스트 창'을 선택한 후에,

        Ctrl+A를 동시에 눌러 모든 데이터를 지우고 나서,

         

        표를 복사해서 붙이면 이렇게 나옵니다!

        딱봐도.. 아직 미완성이죠?^^;;

         

         

        아래 계층으로 내리고 싶은 블록이나 범위를 선택하여,

        'Tab' 키를 눌러 아래로 내려주면 되는데요.

        이때 Shift+Tab을 동시에 누르면 반대로 단계를 올릴 수도 있답니다:)

         

         

        자, 그러면

        결과물은 어떻게 나왔을까요?

         

         

        ✔️ b) 위 a)에서 만든 조직도를 활용하여, 본인의 기획을 적용한 조직도 적용 및 첨부 ; 결과

         

        짠~! 한줄로 쭉 구성되던 부서가 나름 깔끔하게 계층이 생겼습니다!👏

         

         

        ✔️ c) 위 과정을 진행해봄으로써스마트 아트를 본인의 기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항과 느낀점 작성 

        이번 Step에서는 엑셀의 SmartArt 기능을 활용해 조직도를 직접 만들어보았습니다. 처음엔 그저 표로만 입력한 정보였지만, SmartArt의 ‘계층 구조형’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구성해보니 각 부서 간의 관계와 흐름이 한눈에 들어와서 정말 보기 쉬웠습니다. 👀

        특히 텍스트 창을 통해 계층을 조절할 수 있었던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Tab과 Shift+Tab만으로 단계 조정이 가능해 내용의 흐름을 빠르게 바꾸고 정리할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완성된 조직도는 보기에도 깔끔하고 구조적이었습니다. 💼

        그리고 여기서!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팔랑크스 유닛2 – 내용의 구조화에서 다뤘던 블록트리 만들기와 연결되는 순간이었습니다. 🔗 그동안은 구조도를 만들 때 늘 Xmind만을 사용해왔는데요, 이제는 엑셀 SmartArt로도 충분히 구조화된 시각 자료를 만들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

        앞으로는 기획 문서를 정리할 때도,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정리할 일이 생길 때도 엑셀을 블록트리처럼 활용하는 방식을 더 자주 써볼 생각입니다. SmartArt는 단지 그래픽을 삽입하는 도구가 아니라, 정보의 흐름을 ‘명확하게 보이게 만드는 기획자 도구’로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실제로 해보니, 생각보다 유연하고 강력했습니다. 💪📐

         


         STEP 03.    오빠두엑셀이라는 채널을 통해 실무 기획자로서의 준비 시나리오 👨‍💻  

         

        ✔️a) 오빠두엑셀 채널 중 3개 이상의 영상에서 ‘자신의 직장/회사/커리어와 연관하여 상황, 어려움, 감사'를 표현하는 댓글들 3개를 캡처하고, 실무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해당 댓글들에 대해 느껴지는 사항을 작성 

        함수, VBA 잘쓰면 엑셀 고수? No! 엑셀 잘 하는 방법은 따로 있습니다. 엑셀 잘하는 비법 공개 ❘ 오빠두엑셀

         

        이제 엑셀에서 ChatGPT를 바로 사용해보세요! ❘ 딱, 3분이면 됩니다 ❘ 무료 서식 제공

         

        엑셀 잘하는 방법, 이것 하나만 기억하세요 ❘ 엑셀이 정말 편해집니다

         

        오빠두엑셀 영상 속의 댓글들을 살펴보면서, 실무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엑셀이 단순한 문서 작성 도구 그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엑셀을 배우지 않았을 때 겪은 어려움이나, 뒤늦게 그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경험들을 공유하고 있었습니다. “엑셀 몰라서 진짜 고생했다”, “이 기능을 더 일찍 알았더라면…” 같은 이야기들을 보면서 엑셀이 업무 효율과 실무 대응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도구라는 사실을 더욱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표를 만들고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준을 넘어 업무 흐름을 정리하고, 구조화하며, 설득력 있게 시각화하는 능력이 오빠두엑셀을 통해 가능하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엑셀 좀 한다는 말을 들었다", "이걸 미리 알았더라면 보고서 퀄리티가 달라졌을 것"과 같은 반응에서도 엑셀 역량이 하나의 전문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

        또한 "엑셀 강의인데 데이터베이스처럼 느껴졌다", "엑셀로 raw data를 정리하는 법을 처음 알게 됐다"는 반응을 통해, 이 채널을 기초부터 심화까지 넓은 범위에서 활용 가능하다는 사실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이 댓글들을 통해 저는, 엑셀을 단지 시험 대비나 문서 작성을 위한 도구로만 보지 않고, 앞으로 다양한 실무 상황 속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량으로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획자로서의 설득력, 논리적인 구조화, 업무 정리의 명확함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엑셀이 그 기반이 되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집중해서 배워야겠다고 느꼈습니다. 💪

         

         

        ✔️b) 오빠두엑셀 채널에서 ‘유튜브 영상’ 이 아닌, 관련 카페, 커뮤니티, 관련 클래스 등을 검색, 구경해보고, 느껴지는 ‘엑셀’ 에 대한 중요성이 어떠한 지를 작성 

        오빠두엑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oppadu.com/

         

        '엑셀..하루에 하나씩'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excelmaster

         

        '엑사모(엑셀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네이버 카페: https://cafe.naver.com/ex4mo

         

        오빠두엑셀 공식 홈페이지 네이버 카페 ‘엑셀, 하루에 하나씩’, ‘엑사모(엑셀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를 둘러보며, 엑셀이 하나의 프로그램을 넘어서 하루하루 실무 속에서 필수로 쓰이는 도구⭐️라는 걸 다시금 느꼈습니다. 특히 엑사모 카페에 몇 시간 전 올라온 게시글들을 보면서,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사람들이 실제 업무 문제 해결을 위해 엑셀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공유하고 있구나..'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오빠두엑셀 홈페이지에는 무료 강의부터 도전형 콘텐츠, 실습 자료실까지 잘 정리되어 있어서 엑셀을 배우는 입장에서 꾸준히 활용하기 좋은 학습 환경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 카페들에는 초보자 질문부터 고급 VBA 활용, 엑셀 실무서까지 다양한 정보가 정리돼 있어 그 자체로도 하나의 지식 인프라로 기능하고 있었습니다. 📚

        이러한 커뮤니티들은 단기간 학습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획자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정보를 습득하고, 실무 고민을 나누며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준다는 점에서 특히 인상 깊었습니다. 엑셀은 하나의 툴을 넘어, 업무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문제를 구조화하는 힘을 길러주는 도구라고 느껴졌고, 이러한 리소스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겠다는 다짐이 들었습니다. 🌱

         

         

        ✔️c) ‘엑셀’ 을 통해, 향후 나의 기획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나 가능성을 1개 작성 

         

        저는 현재 ‘필수형 유닛’ 과제를 통해,
        차량 인포테인먼트 기업 ‘드림에이스(DRIMAES)’의 통합 IVI 서비스 기획을 진행 중입니다.

        따로, 또 같이👨‍👩‍👧‍👦: 차량 안에서 이어지는 우리만의 콘텐츠 여정🌈

         

        따로, 또 같이👨‍👩‍👧‍👦: 차량 안에서 이어지는 우리만의 콘텐츠 여정🌈

        [실무 기획]내용의 구조화 : 이 기획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유닛 코드 : PXE-102, 필수형 안녕하세요, 팔랑크스 여러분!서비스팀 10기 정민아입니다:) 저는 이번 기획에서 드림에이스(DRIMA

        phalanx-club.tistory.com

         

         

        지금까지 ‘유닛2. 내용의 구조화’ 단계까지 설계해온 상황이며,
        이 구조를 바탕으로 엑셀을 실제 기획 실무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이번 기획안의 구성 구조인 TB(Top Block)와 UB(Under Block) 단계별로,
        엑셀은 정리·기획·시뮬레이션 툴로 적극 활용될 수 있습니다.

         

         

        🟠 TB01. 좌석 기반 사용자 분리 및 프로파일링

        • UB01-1에서는 좌석 위치별 탑승자 정보, 디바이스 종류, BLE 인식 거리 등의 데이터를 표로 정리하고,
          조건부 서식과 필터 기능으로 좌석-사용자 매칭 규칙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 UB01-2~3에서는 기기 등록 현황, 사용자 프로필 요소, 탑승 맥락(요일·시간·반복 패턴)을 탭별 시트로 나눠
          유형별 사용자 시나리오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 UB01-4에서는 좌석별 초기 콘텐츠 실행 조건을 정리한 후,
          조건값에 따른 콘텐츠 추천 로직 시퀀스를 목록화해 실제 흐름 설계 전 단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TB02. 상황 인지 및 콘텐츠 흐름 설계

        • UB02-1에서는 시간대, 주행 여부, 날씨, 위치 등의 실시간 변수와
          콘텐츠 반응 조건을 데이터 시트로 정리하여 상황별 추천 로직 매트릭스를 구성합니다.
        • UB02-2~3에서는 좌석별 콘텐츠 유형과 우선순위를 분류하고,
          사용자 상태 × 좌석 위치 × 상황 맥락별 콘텐츠 우선순위 시뮬레이션을 테이블 기반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 UB02-4에서는 콘텐츠 자동 실행 조건을 ‘이전 콘텐츠 종료 → 다음 콘텐츠 트리거’ 순서로 정리하여
          자동 흐름 설계의 초안 시퀀스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 TB03. 좌석 간 연결과 상호작용 설계

        • UB03-1에서는 공동 콘텐츠 참여 방식(투표, 반응, 미션)을 표로 정리하고,
          각 콘텐츠 유형별 좌석 간 참여 가능성/역할 분담 구조를 명확히 나눌 수 있습니다.
        • UB03-2~3에서는 화면 연동 흐름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연결 조건 및 데이터 흐름표를 작성하고
          좌석별 권한 제한 및 조작 가능 범위를 행·열로 구조화된 규칙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엑셀은 텍스트만 정리하는 수준을 넘어서, 기획 흐름을 구조화하고 실현 가능한 조건과 규칙을 시뮬레이션하는 핵심 도구로 확장 가능합니다. 본격 기획제안서 작성 이전, 실제 사용자 흐름을 정교하게 만들고 검증하는 데 엑셀은 매우 실용적인 기반이 될 것입니다. 🌈

         

         

        직접 엑셀로 콘텐츠 흐름 우선순위를 정리해보려 했지만,
        생각보다 기능이 낯설고 구성 방식이 어려워 손쉽게 진행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당장은 어려움을 느꼈지만, 이후에는 오빠두엑셀 강의를 참고해
        기획 실무에 필요한 기능부터 차근차근 익혀나갈 계획입니다. 💡

         


         

        기획자로서, 엑셀은 정보를 구조화하고 흐름을 시각화함으로써

        아이디어를 실제 설계로 연결해주는 핵심 도구라고 평가한다.

         

         

        어릴 때 배운 엑셀… 다 까묵었다…하지만 나두다시엑셀! 😤📊_끝.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