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 코드 : PXO-106, 선택형
[기획Principle] 취향과 기획 : 나만 좋은 ‘예술’ 과 고객이 원하는 ‘비즈니스’ 의 차이.
안녕하세요!
요즘과 같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시대에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거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선택형 유닛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한 주도 한걸음 더 성장해 보겠습니다! 🫠

STEP 01. 데이터 사용 경험 1️⃣) 구글 트렌드🌍
지금 시점에는 뭐가 유행할까? 고민하다가 이제 곧 3월에 벚꽃이 피는 시기잖아요! 그래서 24년 이번 키워드로 🌸'벚꽃 '🌸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예상대로 3월에 벚꽃 키워드가 급상승하다가 4월 초가 지나면서 급격히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었어요!

그.러.면
여름철에는 전혀 검색이 되지 않겠구나 생각을 했는데, 의외로 2월보다 검색량이 더 많은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 여름철에 피는 꽃인 수국과 겨울에 피는 꽃인 동백에 대해서도 비교해 보았습니다!
제 예상에는 봄에는 벚꽃, 여름에는 수국, 겨울에는 동백이 각각 검색량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는데요. :)



봄에는 벚꽃, 여름에는 벚꽃과 수국, 겨울에는 벚꽃과 동백이 검색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벚꽃은 왜 모든 계절에 인기가 많은걸까요?"

겨울철에는 벚꽃 마라톤 관련 키워드 검색량이 많이 확인되었는데요. 사람들이 부지런히 마라톤 대회에 나가기 위해 미리 미리 준비를 하는가 봅니다. :)
벚꽃은 많은 사람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꽃이고, 관련 노래도 많은 만큼, 많은 사람들이 벚꽃 개화 시기를 미리 준비하는 것을 보니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
STEP 02. 데이터 사용 경험 2️⃣) AI를 동반한 데이터 tool🤖
제가 선택한 AI 기반 데이터 tool은 바로 'Julius' 입니다!
이름이 마음에 들어서 해당 tool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ㅎㅎ
새 스레드를 통해 아래와 같이 빠른 시각화를 클릭했습니다!


최근에 급증하는 외국인을 위한 부동산 플랫폼 관련하여 기획안을 작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통계청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외국인 등록 현황" 데이터를 CSV로 다운로드 받아서 시각화 진행해 보았습니다. :)

저두 선배 크루 결과물 레퍼런스를 참고해서 멋진 그래프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를 했는데...



제가 다운로드 받은 파일 글씨체를 율리우스가 인식하지 못해서 글씨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ㅠㅠ
그치만 많은 데이터를 간편하게 시각화하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어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데이터 tool이 있는지 몰랐네요!!
아래는 결과에 대한 요약입니다!
✔️ a) 내가 찾은 AI를 통한 데이터 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 1개 작성
🚀Julius
: 사용자가 데이터를 손쉽게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

✔️ b) 이 서비스에 들어가 내가 사용해본 기능들의 소개와 사용 소감
🚀 CSV 파일을 Quick Visualizati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
: Julius의 Quick Visualization 기능을 활용해 CSV 파일 데이터를 손쉽게 그래프로 변환하고 시각화할 수 있었습니다.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데이터 분석 경험이 많지 않아도 간단한 클릭 몇 번으로 시각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다만, CSV 파일의 형식이 Julius에서 요구하는 기준과 맞지 않으면 제대로 된 시각화를 얻기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파일을 업로드하기 전에 데이터 구조를 확인하고, 형식을 맞춰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데이터 정리가 잘 되어 있으면 훨씬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듯합니다! 😊
✔️ c) 이 서비스에서 다루는 데이터 관련 기능을, 기획자로서 나의 기획 커리어에 사용하고자 하는 예상과 계획
: Julius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능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나 시장 조사 데이터를 빠르게 탐색하고 주요 패턴을 파악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또한, 기획안 및 보고서 작성 시 데이터를 차트나 그래프로 표현하여 설득력을 높이고,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데 적극 활용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STEP 03. 데이터 사용 경험 3️⃣) 국가 공식 통계청🚩
✔️ a) 통계청 사이트에서 내가 눌러본 메뉴들과 알아본 기능들 중 2개 작성
📍눌러본 메뉴 : 통계청 사이트> 하단 '빅데이터 활용'
✨ 가계, 사업체, 일자리 등 다양한 데이터 제공


📍눌러본 메뉴 : 통계청 사이트> 통계설명자료서비스
✨ 해당 통계 작성 목적 및 이용 등에 대한 내용 확인 가능

✔️ b) 통계청 사이트에서, 내가 알고 싶은 정보를 한 문장으로 명시하고, 이 정보와 관련되어 내가 찾아낸 정보 소개
알고 싶은 정보: 국내 체류 외국인 합계 및 총인구 대비 비율
탐색 과정 : 통계설명자료서비스 > 통계별설명자료조회
(2015년 기준이기는 하지만..) 국내 체류 외국인 합계는 1,711,013명으로 총인구 대비 비율이 3.4%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한눈에 정리된 표로 확인할 수 있었어요! 😊

✔️ c) 기획자로서 내가 앞으로 ‘통계청’ 서비스를 나의 실무 기획 커리어에 사용하고자 하는 예상과통계청 서비스에 대한 사용 소감
: 앞으로 기획자로서 관심 있는 분야의 데이터를 확인할 때 통계청 서비스를 활용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합니다. 특히, 서비스 기획 및 시장 분석을 진행할 때 공식 통계 데이터를 참고하면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통계청에서는 인구, 경제, 산업, 소비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특정 사용자층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거나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 및 보고서 기능도 갖추고 있어 복잡한 통계를 한눈에 이해하기 쉽게 정리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통계 자료 얻기 🏷️📚_끝.

'🔯브랜딩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전 기획안 타진] 헉... 공모전 마감 10분전... (1) | 2025.02.22 |
---|---|
파바에서 행복을 굽다♡ (4) | 2025.02.22 |
한샘, 트민가(트렌드에 민감한 가구)가 될 상인가.... (3) | 2025.02.18 |
공중전화, 관광의 샛별이 되다 (7) | 2025.02.16 |
DN프릭스 공모전 피드백 해주세요 '여러분'💙 (7)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