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안녕하세요, 팔랑크스 크루 여러분.
이번 주는 선택형 유닛으로 구글 트렌드를 선정했습니다. 신년 도서라는 키워드를 떠올리면 언제나 '트렌드 코리아' 가 가장 먼저 생각나는데요.. (이번에 팔랑크스 크루 분들께서도 초대를 받아서 다녀오셨죠... 저는 시간이 맞지 않아서 아쉽게도 못갔습니다😢)
그만큼 트렌드를 파악하는 능력은 기획자에게 중요한 능력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구글 트렌드를 통해 트렌드를 파악하고 기획 전략에 활용하는 방법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Google 트렌드
2024년 올해의 검색어 Google 트렌드 데이터를 통해 한 해를 살펴보세요.
trends.google.co.kr
STEP 01. GT-구글 트렌드랑 친해지기 👩❤️💋👨
✔️ a) 본인이 구글 트렌드에 익숙해지기 위해 알아본 기능 3가지와 각각의 개요 1-2줄씩
🔎기능명1: 탐색
Google Trends는 1시간 전부터 2004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 범위 검색 메뉴를 제공합니다. Trends Explore에서 주제를 검색하면 시간 경과에 따른 인기도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표시됩니다.
🔎기능명2: 실시간 인기
실시간 인기 검색어는 최근 7일까지의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기능명3: 올해의 검색어
2024년 한 해 동안의 검색어 순위를 카테고리별로 보여줍니다.
✔️ b) 메인 화면의 검색(탐색)창에서, 본인이 알아보고 싶은 키워드 1개 검색 해보고, 그에 대한 결과 및 해석
저는 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팝가수인 Taylor swift 의 트렌드 변화를 살펴보았는데요.
그녀는 최근 5년간 나름대로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왔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2023년 12월에 검색량이 급증했던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타임지의 올해의 인물로 선정, 스포티파이와 애플 뮤직의 글로벌 스트리밍 1위를 차지하는 등의 다각적인 활동이 시너지를 냈던 것 같습니다.
✔️ c) 위 b)를 진행하며 본인이 기획자로서 GT 검색 기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지에 대한 활용 방안과 느낀점
그간 GT 검색 기능을 활용하지 않았던 시간들이 아쉽다고 생각될 정도로 엄청난 이점이 있다고 생각했는데요.
특정 키워드를 지역, 시간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석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이런 검색량을 단숨에 시각화까지 해준다는 점도 정말 편리했고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가 언제, 어디서, 얼마나 주목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기획 초기 단계에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전에 검색 트렌드를 확인하여 시장의 관심도를 검증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GT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기획안의 설득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비교 기능이 있어 경쟁사대비 실적을 비교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TEP 02. 지역별/시즌별 트렌드 분석하기🌐
✔️a) 본인이 기획할 대상을 하나 선정하여, 해당 키워드와 관련하여 '지역별' 트렌드는 어떠한 양상을 띄는지 분석
💥기획 대상: 애슐리
저는 제가 좋아하는 패밀리 레스토랑 '애슐리' 를 선정해보았는데요.
'애슐리' 이라는 키워드의 지난 1년간 지역별 트렌드를 살펴보니...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가 가장 높았습니다!
음... 확실히 애슐리 퀸즈가 수도권에 지점이 몰려있기는 하네요.
✔️ b) 위 a)에서 검색한 동일한 키워드의 '시기별' 트렌드는 어떠한 양상을 띄는지 분석
애슐리 퀸즈의 시기별 트렌드를 살펴보니 지난 1년간 관심도가 100으로 가장 높았던 시기가 바로 2024년 12월 22일~28일 이었는데요. 다름 아닌 연말과 크리스마스가 맞물린 시기라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c) 위 a), b)를 진행함으로써 수립할 수 있는, 해당 기획의 전략 및 활용 방안과, GT를 활용하여 전략을 수립해본 느낀 점
위와 같은 '지역별' '시기별' 트렌드 파악을 통해, 11월 중순부터 선제적으로 '크리스마스' 를 타겟으로 한 티저 마케팅을 진행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크리스마스 시즌 검색량 증가를 바탕으로 시즌 맞춤 이벤트를 활용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GT 트렌드가 실질적인 마케팅 아이디어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STEP 03. GT 기반으로 고객 타겟팅 하기🎯
✔️a) 본인의 기획과 관련한 '키워드'를 GT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 분석
◾검색한 키워드: 이번 주 유닛1의 대상으로 선정한 '숨고' 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프리랜서 플랫폼이라는 포인트에서 유사 서비스를 제공 중인 '크몽' 과 비교하였을 때, 최근 1년간 현저한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b) 위 a)를 토대로 재수립 및 디벨롭한 고객 타겟팅과 그에 대한 기획 전략 서술
GT 트렌드 분석 결과를 통해, '숨고' 에 대한 관심이 '크몽' 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숨고' 는 '크몽' 과의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크몽의 비즈니스 중심 우위를 고려하여, 숨고는 '일상 속 필수 생활 서비스 플랫폼' 으로 재포지셔닝을 하여 생활 서비스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c) 위 b)를 진행하며 본인이 기획자로서 GT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활용 방안과 본인이 느낀 점
구글 트렌드를 통해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여 기획 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실감할 수 있었고, 이처럼 트렌드 데이터를 확보하면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겠다는 점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앞으로도 GT 활용을 통해, 기획자로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는 보조 도구일 뿐이며,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고 경쟁사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기획의 설득력과 정확도를 높여야 할 것입니다.
🧭트렌드를 잡으면 기획이 쉬워진다! 구글 트렌드🌍_끝.
'💻IT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숙한 다른 세계관🔣, 워게임을 알려드립니다.🚀 (0) | 2025.02.22 |
---|---|
Kakao Travel, 너 기본은 됐니? (5) | 2025.02.22 |
👥친구들로 북적이는 북적북적, 궁금하지 않아?📚 (4) | 2025.02.22 |
피그마, 너 이렇게 쉬운 아이였어? 😲 (2) | 2025.02.22 |
NEW 큐봇 (최종의최종의최종)_교보문고 (2)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