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 코드: PXE-105 [실무 기획] 레퍼런스 분석: 이 세상에는 어떤 기획들이 있는가?
STEP 01 . 어떤 기획 레퍼런스를 살펴보나요 ?
이번 레퍼런스 분석에서 살펴볼 회사는 2020년 3월 18일 설립된 서북입니다.
서북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셀프 사진관인 포토이즘(Photoism)이 있습니다.
사실 셀프 사진관의 원조를 만든 회사는 엘케이벤쳐스입니다.
엘케이벤쳐스는 2018년 1월 22일에 설립되어 인생네컷을 운영했습니다.
초록색: 엘케이벤쳐스(인생네컷 회사) / 파란색: 서북(포토이즘 회사)
출처: 혁신의 숲
하지만 후발 주자인 서북(포토이즘)은 무섭게 엘케이벤쳐스(인생네컷)의 뒤를 쫓았고, 현재 연매출과 월 방문자 수에서 엘케이벤쳐스(인생네컷)을 추월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레퍼런스 분석에서는 서북(포토이즘)이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이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분석을 위해 인생네컷과 포토이즘을 직접 방문하여 비교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깊이있는 분석을 위해 서비스 현장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마케팅, 경영 등..)은 이번 분석에서 제외합니다.
STEP 02 . 이 기획이 어떤 변화를 가져왔나요? 혹은 가져오지 않았나요?(Before - After)
Before: 포토이즘 시장 진출 전
1. 인생네컷 등의 브랜드가 한국 셀프 사진관 시장을 점유하고 있었습니다.
After: 포토이즘 시장 진출 후
1. 포토이즘은 셀프 사진관의 원조라고 불리는 "인생네컷"의 연 매출액과 월 방문자 수를 추월했습니다.
2. 포토이즘은 인생네컷의 인지도를 따라잡았고, 현재 소비자들에게 인생네컷과 비슷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네이버 데이터 랩의 검색량 그래프인데 특정 날짜를 제외하면 포토이즘과 인생네컷의 검색량이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03 . 이 기획에 대한 본인의 결과 평가 는? (승-무-패)
앞선 성과를 살펴보았을 때 포토이즘의 기획은 "승"이라고 평가합니다.
1. 사진 촬영을 위한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인생네컷 | 포토이즘 | |
지폐교환기 | ![]() |
![]() |
전신 거울 | ![]() |
![]() |
빗과 고데기 | ![]() |
![]() |
장식 소품 | ![]() |
![]() |
발 받침대 | ![]() |
![]() |
사진 포장 비닐 | ![]() |
![]() |
그리고 특이한 점은 포토이즘은 장식 소품에서도 차별화를 했다는 점인데요, 포토이즘에는 인생네컷에 있는 장식 소품도 있지만 말풍선 패널 같은 포토이즘 고유 소품도 있었습니다.
2. 유명 IP와의 제휴를 확대해 "덕후"들의 유입을 유도한다.



(출처: https://www.instagram.com/photoism.kr/p/C7rZ13Gh4iM/?img_index=1)
(출처: https://www.instagram.com/photoism.kr/p/DECEwjOTcln/?img_index=1)
3. 취향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흥미로운 포토 프레임도 개발했다.
포토이즘은 Q&A 프레임을 개발했습니다.
Q&A 프레임은 위 사진처럼 포토 프레임에 질문이 적혀있고, 사진이 인쇄되면 그 위에 답변을 적을 수 있는 포토 프레임입니다.
프레임은 lover(연인), friend(친구), ME(나) 이렇게 총 3종류가 있으며 각 프레임은 연인, 친구, 개인에게 맞는 질문을 제시합니다.
Q&A 프레임은 포토이즘을 이용할 때 재미를 더합니다. Q&A 프레임은 어떤 답변을 작성하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프레임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른 답변이 적힌 프레임은 자기표현의 도구가 되거나, 서로 프레임을 공유함으로써 관계를 돈독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연예인이나 캐릭터 없이 흥미를 제공하는 Q&A 프레임은 특정 타깃층이 아닌 폭넓은 타깃층을 공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합니다.
STEP 04 . 내가 담당 기획자였다면 가장 고심했을 부분은? (1가지 detail)
제가 포토이즘의 사업 기획자였다면
어떻게해야 인생네컷과 포토이즘을 차별화 할 수 있을까...?
를 깊이 고민했을 것 같습니다.
결국 포토이즘은 개성적인 프레임으로 차별화했는데요,
포토이즘이 셀프 사진관이라는 사업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프레임이 아닌 다른 항목에서 차별화 전략을 세우기 어려웠을 것 같습니다.
1) 가게 인테리어: 셀프 사진관은 잠깐동안만 머물다 나오는 공간이기 때문에 인테리어에 과도한 비용을 투자하는 것은 비효율적임.
2) 사진 배경: 단색 배경이 아닌 독특한 배경을 제공할 경우 호불호가 갈려 최악의 경우 이용자가 없어질 수도 있음.-> 즉 인생네컷처럼 무난한 단색 배경이 최선.
3) 사진 품질: 사진 촬영 기술이 상향평준화 됨에 따라 사진의 품질로 차별화하기는 어려움
따라서 포토이즘은
1) 인생네컷이 제휴하지 않은 유명 연예인&캐릭터와 제휴하여 프레임 개발
2) 포토이즘만의 독창적인 프레임 개발
을 통해 차별화 전략을 성공시켰다고 분석합니다.
STEP 05 . 위 기획 레퍼런스를 통해, 내가 얻은 인싸이트 는 ?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셀프 사진관 운영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해보겠습니다.
1. 셀프 사진관 기본 요소를 갖춰야한다.
셀프 사진관의 공간 구성이 정형화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들이 있습니다. 셀프 사진관 기본 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지폐교환기
-전신 거울
-빗과 고데기
-장식 소품
-발 받침대
-사진 포장 비닐
2. 유명 IP와 제휴해야한다.
유명 IP와의 제휴는 해당 IP의 팬층에게 셀프 사진관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기회입니다. 따라서 유명 IP와의 제휴를 통해 팬심을 자극하여 사진관 방문을 유도해야합니다.
3.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
독특한 장식 소품이나 프레임은 셀프 사진관 브랜드의 큰 자산입니다. IP 비용을 내지 않고도 방문객에게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셀프 사진관 운영을 위해 브랜드만의 고유 프레임 콘텐츠는 꼭 개발해야할 것입니다.
기획자로서, 위 기획안은 셀프 사진관 성공을 위한 요소를 파악한 레퍼런스 분석이라고 평가한다.
인생네컷 후발주자인 포토이즘은 어떻게 성공했을까?_끝
'🔯브랜딩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굿즈 확정! 계속 진행중~ (1) | 2025.02.15 |
---|---|
볼보 시승 한 번 해볼까? VR 고글 끼고! <볼보 리얼리티> (7) | 2025.02.09 |
🏭B2B기업의 브랜드 정체성을 굿즈로 담아보자🍶 (1) | 2025.02.09 |
[Overwatch 2] 05. 어떤 맵들이 있을까? (1) | 2025.02.09 |
🍜"사장님이 미쳤어요!!" 맛집 바이럴에 지쳐서 뽈레만 보게 되... (8)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