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밀리와 친해지리_밀리의 서재

        by 김윤정 | 고려대 | 산업경영공학부 | SKT 2025. 3. 29.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 5] 레퍼런스 분석 : 이 세상에는 어떤 기획들이 있는가?

         

        팔랑크스 크루 분들은 종이책전자책 중 어떤 걸 더 선호하시나요?

        저는 종이책이 이사할 때 짐이 되기도 하고 같은 책을 여러 번 읽지 않아 종이책보단 전자책을 선호합니다!

        저에게 전자책 서비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밀리의 서재인데요!

        저도 한때 밀리의 서재 유저였던 만큼 이번 주에는 밀리의 서재에 대해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밀리의 서재 로고


        STEP 01.   어떤 기획 레퍼런스 살펴보나요?

         

        밀리의 서재 관련 기사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3621126638825288&mediaCodeNo=257)

         

        밀리의 서재2022년 흑자 전환에 성공한 후 지금까지 쭉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이번 레퍼런스 분석에서는 흑자 전환 시점 전후의 밀리의 서재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물론 그 후 현재까지 어떤 행보를 걷고 있는지도 살펴볼 텐데요.

        밀리의 서재가 2021~2022년쯤에 흑자 전환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결정적 이유가 있을지, 있다면 이번 분석을 통해 드러날 수 있을지 기대해 주세요!

         

        밀리의 서재 레퍼런스 타켓 카드


        STEP 02.   이 기획이 어떤 변화를 가져왔나요? 혹은 가져오지 않았나요? (Before - After)

         Before

        출처:https://www.mobiinside.co.kr/2023/06/09/millie/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밀리의 서재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2020년과 2021년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하고 심지어 2021년은 적자규모가 더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 드디어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되고 매출 또한 2021년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영업이익을 흑자로 전환하고 매출도 크게 올릴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2021년 9월, KT 자회사 지니뮤직이 밀리의 서재를 인수합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551820

         

         

        인수 전까지 밀리의 서재타 마케팅을 활용했었습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053683
        출처: https://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661

         

        2019년에는 이병헌과 변요한, 2021년에는 조정석을 섭외하여 TV 광고 모델로 내세웠는데요.

        2018년 방영된 미스터션샤인의 주연인 이병헌과 변요한, 2020년과 2021년 방영된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주연인 조정석, 다 엄청난 흥행작의 주인공들이죠! 스타트업 규모의 밀리의 서재가 광고선전비용에 엄청난 투자를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After

         

        대기업인 KT에 인수되고 난 후에는 이런 스타 마케팅을 멈추고 콘텐츠 개발 및 제작에 더 투자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KT와 공동마케팅을 진행하며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사업을 운영하게 된 것이죠!

        밀리의 서재 광고선전비 표

         

        이는 광고 선전비용이 2020년 약 63억, 2021년 127억에서 2022년 반기 수치로 약 24억까지 줄어든 것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밀리의 서재는 콘텐츠 개발 및 제작에 더 투자하며 오리지널 콘텐츠를 강화했는데요.

        그 덕에 밀리의 서재훌륭한 마케팅 수단이자 콘텐츠 테스트 베드 (Test Bed)로 출판사 사이에서 입소문 타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책들을 크루 분들은 한 번쯤 들어보시거나 읽어보셨을 겁니다.

        <불편한 편의점> 시리즈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작별인사>

         

        출처: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122111290269898

         

        <불편한 편의점> 시리즈의 경우 종이책 출간 직후 반응은 미미했지만 출간 2달 뒤 첫 편이 밀리의 서재에서 서비스되기 시작하면서 입소문을 타 2022년까지 40만 명의 독자 수를 유치했습니다. 심지어 오프라인 서점에서도 <불편한 편의점 1>의 인기가 드러나기 시작했는데요. 2022년 12월 교보문고, 2023년 1월 영풍문고, 2월에는 예스24와 알라딘에서 종합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그리고 2022년 8월 <불편한 편의점 2>가 출간되고 이 시리즈가 주요 서점 베스트셀러 순위 10위권 내에 들어올 만큼 인기를 끌었습니다! 주요 서점과 매체가 선정하는 ‘올해의 책’에도 2년 연속 이름을 올렸고, 판권은 세계 8개국에 수출될 만큼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출처: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404126090b, https://www.issuenbiz.com/news/articleView.html?idxno=17384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의 경우 밀리의 서재에서 전자책으로 먼저 출간되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 후 종이책으로까지 출간되었고 베스트셀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밀리의 서재는 지니 뮤직과 협업해 <어서 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의 오디오 드라마를 제작하며 밀리의 서재가 가진 도서 기반 IP의 잠재력을 입증하였습니다!

        출처: https://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535

         

        <작별인사>의 경우 유명 작가인 김영하 작가의 소설로, 밀리의 서재에서 먼저 출간되고 독자의 반응을 반영해 개작본을 출간할 만큼 밀리의 서재가 가진 콘텐츠 플랫폼으로서의 신뢰성과, 테스트 베드(Test Bed)로서의 역할을 증명하였습니다!

         

        Before
        - 스타 마케팅으로 브랜드 입지 강화
        - 엄청난 비용으로 인한 영업 이익 적자

        After
        - 대기업 KT와 공동마케팅을 진행하며 마케팅 비용 절약
        - 절약한 비용을 콘텐츠에 투자하며 플랫폼 입지 강화

         

        출처

        https://www.mobiinside.co.kr/2023/06/09/millie/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122111290269898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210264841b

        https://www.the-stock.kr/news/articleView.html?idxno=17334


        STEP 03.  이 기획에 대한 본인의 결과 평가는? (--)

        이렇게 2022년 밀리의 서재흑자 전환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살펴보았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대기업에 인수되며 대기업 인프라를 활용해 비용을 줄이고, 밀리의 서재 상품인 콘텐츠에 더 투자한 것이었는데요!

        이런 밀리의 서재의 기획을 '승'으로 평가합니다.

         

        현재까지도 밀리의 서재는 이런 기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2022~2024 밀리의 서재 연간 매출

         

        작년 밀리의 서재726억의 매출110억의 영업 이익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2022년 42억의 영업 이익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인데요! 꾸준히 매출과 이익을 함께 늘려가는 선순환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한 것입니다!

         

        2022년 이후에도 꾸준히 오디오북, 챗북, 도슨트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였고 밀리 페어링, 필기 모드 등 편의성을 강화한 기능까지 탑재하였습니다.

        심지어는 AI 기술까지 접목해 AI 스마트 키워드, AI 페르소나 챗봇, AI TTS의 AI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 KT 전략가를 밀리의 서재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하며 모회사 KT와의 기술 협업이 더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층을 확대하며 올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대기업 인수 결과로 대기업과의 친밀한 협업이 이어지며 좋은 결과를 계속해서 만들어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밀리의 서재의 전략이 더더욱 으로 평가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출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321_0003108213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8886


        STEP 04.   내가 담당 기획자였다면  가장 고심했을 부분은? (1가지 detail)

         

        사실 스타트업 출구전략 중 인수가 항상 선호되는 것은 아닙니다. 타기업에 인수되어 모기업과 자회사가 둘 다 성공하는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이죠.

        바루크 레브 뉴욕대 스턴 비즈니스스쿨 명예교수와 펭 구 뉴욕주립대 버펄로캠퍼스 경영대학원 교수는 1980년부터 2022년까지 전 세계에서 진행됐던 약 4만 개 M&A건을 연구한 결과, 평균적으로 70%가 실패로 돌아갔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리의 서재는 지니뮤직이라는 회사에게 인수되는 것을 선택해 오디오북과 오디오 드라마 같은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대기업의 인프라를 이용해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바꾸며 밀리의 서재는 기존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성장 궤도를 밟을 수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지난 2023년 코스닥에 상장하며 회사로서의 입지까지 공고히 다졌습니다!

        성공적인 스타트업 출구 전략이자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출처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33339


        STEP 05.  위 기획 레퍼런스를 통해, 내가 얻은 인사이트는?

         

        스타트업의 전략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스타트업 세계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는데 스타트업 출구 전략, 인수와 상장에 대해서 이번 레퍼런스 분석을 통해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을 적절히 채택하고 활용해 자회사가 더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모기업에도 이익을 주는 것이 자회사의 생존과 유지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도 깨달았습니다.


        본 기획을

        모기업과 자회사가 모두 윈윈한

        전략으로 평가한다.

         

        밀리와 친해지리_밀리의 서재. 끝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