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경험을 기록하자! PL@Y2

        by 최다정 | 인하대 | 미컴 | SM 2025. 3. 29.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 코드: PXE-101, 필수형

        [실무 기획]니즈의 파악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문화생활을 좋아하시나요?

        다양한 문화생활이 있지만 저는 그중에서도 아이돌, 스포츠, 뮤지컬을 좋아합니다. 너무 많다고요?ㅎㅎ 

        이런 문화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팬덤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팬덤 문화라는 것이 거창한 것이 아닌 그곳에서 소속감을 느끼고 MD(굿즈)와 같은 상품을 소비하는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팬 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기록’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람들에게 본인이 그 순간의 경험을 기록하고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바로 이러한 문화콘텐츠 애호가를 위한 어플이 있는데요. 바로 ‘PL@Y2’입니다.

        PL@Y2 로고

         

        PL@Y2(이하 플앱), 문화콘텐츠 애호가를 위한 프리미엄 모바일 앱

         

        STEP 01.  나의 기획은 '누구'에게 필요한가요? 

        생소한 앱이다 보니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플앱 설정 화면

        앱을 열면 보이는 화면입니다. 캘린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노란 네모칸 안에 자유롭게 사진을 넣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한번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는 해당 앱 안에 웹 검색을 통해 가져오거나 본인의 앨범 사진을 넣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이 갔던 기본 공연의 기본 정보를 적으면 위에서 볼 수 있듯 캘린더 안에 사진이 들어가게 됩니다.

        네이버에 플앱을 검색하니 많은 블로거들의 글을 볼 수 있었습니다. 블로거들의 제목과 글을 작성한 날짜를 보면서 충분히 성장 가능성이 있는 앱이라는 생각이 들어 첫 기획안을 플앱으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STEP 02.  나의 기획은 '무엇'을 해결하나요?

        사실 문화콘텐츠라고 넓게 이야기했지만 현재 플앱은 공연예술 분야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물론 기록 앱임을 감안하여 여러 방식으로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생겼지만 여전히 플앱의 타깃층과 이용자들은 공연예술 분야에 머물러 있습니다.

         

        예술경영지원센터 KOPIS 2024년 총결산 공연시장 티켓 판매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도 기준 연극: 작년보다 공연 건수는 +0.2% 소폭 증가, 예매 수는 -0.1% 감소, 공연 회차와 티켓 판매액 비중은 작년과 동일

        뮤지컬: 작년보다 공연 건수와 티켓 예매 수 각각 -185건, -22만매 감소하였으나 공연 회차와 티켓 판매액은 각각 +1,922회, 약 +61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종합적으로 평가해 보았을 때, 연극 분야의 소폭 성장, 뮤지컬 분야의 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극 분야가 성장했다고 하지만 연극, 뮤지컬 분야로 앱을 유지하기에는 성장속도에 문제가 있다고 파악했습니다. 이에 새로운 소비자 유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최근 문화생활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문화생활을 소비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앱의 이용자 타깃을 공연예술 분야에만 한정하지 말고 전체 문화콘텐츠를 아우를 수 있는 기록 콘텐츠로 성장시키고자 합니다.

        저는 기록하는 행위가 사람들의 특정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팬덤을 소비하는 문화에서 좋은 수요가 나타날 수 있는데요. 팬덤 문화에서는 내가 했던 활동들을 기록하고 본인이 얼마나 해당 대상을 좋아하는지를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Ex)

        아이돌 팝업스토어 기사 사진/KBO와 SPC삼립의 콜라보로 진행한 빵이 출시 3일만에 누적 판매량 100만봉을 넘었다는 기사 사진(좌/우)

         

        🔗 출처

        https://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2166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257358i

        https://enter.etoday.co.kr/news/view/254504

        24년+총결산+공연시장+티켓판매+현황+분석+보고서.pdf
        1.73MB

         

        STEP 03.  그 문제는 '왜' 발생하였나요?

        먼저, 플앱의 사업체인 레드컬튼에 관해 살펴보았습니다. 레드컬튼은 소규모 스타트업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손익과 재무 측면에서는 상황이 좋지 못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손익/재무(좌/우)

        하지만 고유 방문자 수(MUV)는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우선 이용자의 수를 늘리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후에 광고나 여러 제휴를 통하여 영업이익을 높이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그렇다면 레드컬튼의 홍보는 어떤 식으로 이뤄져 있을까요?

        SNS 상의 플앱은 기록 앱보다는 연극뮤지컬의 소통 앱에 가까웠습니다.

        인스타그램/X(구 트위터)(좌/우)

        따라서 ‘앱’에 대한 일종의 홍보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플앱이 성장하게 된 배경에도 홍보가 아닌 입소문을 타고 앱의 다운로드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연극이나 뮤지컬이 아닌 다른 분야를 좋아하는 이용자들이 사용하기에 장벽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 출처

        https://www.innoforest.co.kr/company/CP00014933/레드컬튼

         

        STEP 04.  그 문제는 '어떻게' 해결되나요?

        1. 문화콘텐츠 전체를 포괄하는 앱으로 성장하기 위해 추가 카테고리 기능을 형성합니다.

        연뮤(연극뮤지컬)/스포츠/콘서트/전시회/책/OTT/일상

        저는 이렇게 7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꼭 카테고리를 설정할 필요는 없지만 다른 콘텐츠에 관심이 없다면 카테고리 설정을 통해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기존의 연뮤덕(연극뮤지컬덕후)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도 있습니다.

         

        2. 초기 적자를 감수하더라도 홍보를 통한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UX/UI를 여러 콘텐츠산업에 맞게 설정한다고 해도 이용자들이 알아주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에 팬 문화를 많이 소비하는 인스타그램이나, X(구 트위터)를 통한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후 배너 광고나 다른 콘텐츠 회사와 제휴를 통해 이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사업 확장을 위해 홍보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현재 멥버쉽 가격을 월 3,300원에서 6,000원으로 인상하고 추가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홍보 비용을 조금은 충당하고자 합니다. 

         

        STEP 05.  이 문제가 해결되면, 이후 '어떤 효과'가 창출되나요?

        효과 1) 콘텐츠 카테고리 기능 생성에 따른 추가 소비자 확보

        앱의 주 이용자 층인 연뮤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기는 사람들과 일상을 기록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모두 앱의 이용자로 끌어와서 추가 소비자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Ex) 연뮤(연극뮤지컬)/스포츠/콘서트/전시회/책/OTT/일상

         

        효과 2) 지속적인 사용 소비자 확보

        SNS 마케팅 홍보를 통하여 기록을 과시하고 싶어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을 어필하여 하나의 유행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플앱에 있던 티켓 거래, 리뷰 기능, 친구 캘린더 등을 활발하게 업데이트하여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앱 안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합니다.

         

        STEP 06.  그래서! 계획의 목표는 이렇습니다.

         

        본 기획은 PL@Y2(이하 플앱)의 추가적인 사업 방향을 제시하고

        이용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기획으로서 평가한다. 


        경험을 기록하자! PL@Y2_끝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