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냅킨, 코 대신 도식화를 정리해드립니다 🧻

        by 정민아 | 숙명여대 | 기계시스템 | 현대자동차 2025. 3. 27.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기획 Tool]냅킨 : 한 장의 인포그래픽(도식화)는 백 마디 생각을, 가볍게 압도한다.

        유닛 코드 : PXO-205, 선택형

         

         

        우리는 종종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를 책상 앞이 아닌, 산책 중이나 카페 한켠에서 무심코 떠올리곤 합니다.

        그럴 때마다 “이 생각, 잊어버리면 안 되는데” 싶은 순간이 있죠.


        냅킨은 그런 순간을 붙잡아주는 도구예요. ✨ 
        마치 실제 냅킨에 휘갈겨 쓰듯 가볍게 적어두고, 나중에 다시 꺼내어 발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생각 네트워크 + AI 보조 브레인🧠’ 같은 역할을 합니다. 

         

        Napkin AI 로고

         

        Napkin AI - The visual AI for business storytelling

         

        Napkin AI - The visual AI for business storytelling

        Just type, copy-paste or generate your text and Napkin will instantly transform it into insightful visuals. Make your communication more effective with Napkin.

        www.napkin.ai

         

        Napkin.AI는  메모를 넘어 생각의 흐름을 이어주고, 흩어진 아이디어들 사이에서 새로운 연결을 발견해줍니다.
        특히 기획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도구인데요, 다양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조합하고 구조화하는 과정을 더 직관적이고 창의적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

         

        여러분이 남기신 짧은 메모들 속에서도 냅킨의 AI는 서로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안해줍니다.
        이처럼 냅킨은 기획자에게 있어 단순한 생각 저장소가 아닌, 사고를 확장시키고 방향을 제시해주는 든든한 아이디어 파트너가 되어줄 것입니다. :)

         

        그렇다면 이제부터, 다음 세 단계를 통해

        냅킨을 간단히 체험하고 학습해 보겠습니다! 🚀

         


         STEP 01.  수직적/수평적인 개념 도식화 하기 🤲

         

        ✔️a) 내가 도식화할 수직적 or 수평적인 개념과 그 개념을 설명 및 보충하는 문장 2-3줄 

         

        먼저, 저는 냅킨을 이용하기에 앞서 수직적 개념과 수평적 개념이 명확하게 잡히지 않았는데요.

        챗지피티한테 물어본 결과,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좀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저는 마침 요즘 제가 즐겨보는 스포츠인, F1(포뮬러원)이 개막시즌이라..ㅎㅎ

        다음과 같이 '수평적' 개념을 도식화로 활용해보겠습니다.

         

        🔹수평적인 개념: 2025 시즌 F1 주요 4개 팀 비교

        🔹관련 개념 요약:

        드라이버 파워 유닛 팀 강점 특이사항
        Mercedes
        (메르세데스)
        George Russell (#63)
        Andrea Kimi Antonelli (#12)
        Mercedes 정교한 엔지니어링, 전략적 운영 2014~2021시즌 8연속 컨스트럭터 챔피언(루이스 해밀턴 시절), **‘벤츠팀' 아닙니다**
        Red Bull
        (레드불)
        Max Verstappen (#1)
        Liam Lawson (#30)
        Honda RBPT 혁신 기술, 빠른 피트 스탑, 공격적 드라이빙 막강한 예산, 2021~2024 막스 베르스타펜 드라이버 챔피언
        Ferrari
        (페라리)
        Charles Leclerc (#16)
        Lewis Hamilton (#44)
        Ferrari 강력한 엔진, 열성 팬덤(Tifosi) F1 최장 전통, 국내 인기 압도적
        McLaren
        (맥라렌)
        Lando Norris (#4)
        Oscar Piastri (#81)
        Mercedes 젊은 라인업, 기술진 우수 오렌지 아님! "파파야" 컬러, 공격적 성장 중

         덕후의 마음으로서 용어 하나하나 설명하고 싶지만..!!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링크:https://www.instagram.com/reel/DHIdx6Kpatu/?igsh=MTN2bmczbHY1bzhlaA==

         

         

        ✔️b) 위 a)를 인포그래픽 하는 진행 과정과 최종 도식화 

         

        위 표와 링크에 기반한 정보를 바탕으로,

        chat gpt 유료버전에게 냅킨에 삽입하기 위해 줄글로 작성해달라고 부탁하고

        그 내용을 그대로 Napkin.AI에 복붙하였습니다!

         

        사진 속 'Generate Visual' 번개표⚡를 누르면..

        (두근두근두근)

         

        도식화 방식이 다양하고 세세한 디자인 조정도 가능하길래,

        일부러 팀마다 스타일을 조금씩 달리해보며 다양한 결과물이 나오도록 해봤습니다.

        원하는 방향과는 조금 다르게 나온 부분도 있어서 아쉽긴 하지만, 처음 사용해본 것치고는 꽤 놀라운 경험이었어요😄

         

         

        ✔️c)  수직/수평적인 개념을 도식화하면서 들었던 생각들과 본인의 인싸이트 작성 (7줄 내외)

        F1 팀별 정보를 수평적 구조로 도식화하는 작업을 통해, 복잡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이 기획자에게 얼마나 유의미한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실감했습니다. 수평적 구조는 동등한 수준의 정보를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비교와 분류에 최적화된 형식이며, 사용자 입장에서도 핵심적인 차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

        Napkin.AI는 도식의 구성 방식뿐 아니라 세부적인 디자인 조정 기능까지 제공하여, 콘텐츠의 맥락에 따라 시각적 스타일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정보 정리에 그치지 않고,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적 표현 방식에 대해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팀별 특성과 데이터 포인트가 명확한 콘텐츠에서는 수평적 구조가 매우 직관적인 접근법이라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도식화 방식도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습니다. 다음에는 흐름, 단계, 우선순위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직적 구조' 역시 활용해보며, 다양한 시각화 방식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합니다!

         STEP 02.  종속적인 개념 도식화 하기💭

        ✔️a) 내가 도식화할 종속적인 개념과 그 개념을 설명 및 보충하는 문장 2-3줄 + 도식화할 기준

         

        이번에는 F1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모터스포츠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싱 플래그(Flag) 체계로 도식화해보겠습니다:)

         

        🔹종속적인 개념: 레이싱에서 사용되는 플래그의 색상별 의미

        🔹도식화 기준: 본 플래그 색상 → 의미 → 적용 상황 예시로 구성하여 종속적 관계 표현

        🔹관련 개념 요약:

        모터스포츠에서는 플래그의 색깔을 통해 드라이버에게 다양한 상황 정보를 전달합니다.
        이 플래그 시스템은 F1을 포함한 대부분의 레이스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며, 드라이버의 행동이나 경기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각 색상은 특정한 의미와 상황을 나타내며, 경기 중 언제 어떤 플래그가 등장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관전의 재미를 더해줍니다.

        플래그 색상 의미 적용 상황 예시
        🟩 초록색 정상 진행 위험 상황 해제, 레이스 재개
        🟨 노란색 주의 / 감속 사고 또는 트랙 위 잔해 발생 시
        🟥 빨간색 레이스 중단 심각한 사고, 날씨 악화 등
        ⚫ 검은색 드라이버 퇴장 특정 드라이버에게 페널티 부여 시
        ⚪ 흰색 느린 차량 있음 트랙에 느린 차량이 있을 때
        🔵 파란색 진로 양보 지시 앞서 달리는 차량에 자리 양보 지시
        🏁 체커 플래그 레이스 종료 결승선 통과 시

         

         

        ✔️b) 위 a)를 인포그래픽 하는 진행 과정과 최종 도식화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위 표 내용을 줄글로 풀어서 그대로 Napkin에 붙여넣었습니다.
        처음엔 이전처럼 Step 1에서 문단별로 각각 도식화해야 하나 싶어 다소 번거롭게 느껴졌는데,
        혹시나 하고 전체를 드래그해보았더니, 전체 영역에 대해 한 번에 ‘Generate Visuals’가 가능하더군요.
        살짝 머쓱했지만, 덕분에 작업 흐름이 훨씬 매끄러워졌습니다. 😅

         

        이번 결과물 외에도 여러 도식화 결과가 생성되긴 했지만,

        대부분은 초록색부터 검은색 플래그까지, 즉 4개 정도의 플래그만 반영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비교적 정보가 충실하게 담긴 이 도식화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각 플래그의 색상까지 실제 색으로 표현된다면 얼마나 직관적이고 보기 좋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예를 들어, 검은색 플래그는 실제로 검은색으로, 파란색 플래그는 파란색으로 표현된다면

        시각적인 완성도와 전달력 모두 크게 향상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c)  종속적인 개념을 도식화하면서 들었던 생각들과 본인의 인싸이트 작성 (7줄 내외)

        종속적인 개념을 도식화하는 과정에서는 정보들이 어떤 관계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정리하는 시선이 필요했습니다. 중심이 되는 개념을 먼저 정하고, 거기서 어떤 항목들이 어떤 기준에 따라 이어지는지 정리하다 보니 📂, 자연스럽게 내용의 흐름과 구조를 다시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익숙했던 주제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고, 각각의 요소가 어떤 방식으로 중심 개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도식화 주제는 레이싱 플래그 시스템이었습니다. 플래그마다 색이 다르고 🎨, 색마다 의미와 사용되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그걸 어떻게 시각적으로 표현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각각의 플래그가 따로 보이기보다는 하나의 시스템처럼 느껴지도록 구성하고 싶었고, 그 균형을 맞추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나누고 연결할지 여러 시도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

        이번 작업을 통해 느낀 가장 큰 점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정보를 설계하는 것’은 결국 하나의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 종속적인 개념은 내용을 나열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다음에는 시간의 흐름이나 단계처럼 순서가 중요한 내용을 다뤄서, 수직적인 구조로도 도식화를 해보고 싶습니다. 🪄

         STEP 03.  실제 기획 대상과 관련한 뉴스/블로그 등의 텍스트 도식화 하기 🌐

         

        이번에는 필수형 유닛의 소재로 선정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기업 ‘드림에이스’에 대한 유닛 1 기획을 냅킨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 팔랑크스에서의 마지막 꿈, '드림에이스'와 함께!🚗✨

         

        팔랑크스에서의 마지막 꿈, '드림에이스'와 함께!🚗✨

        [실무 기획]니즈의 파악 : 누구에게 어떤 기획이 필요한가? 유닛 코드 : PXE-101, 필수형  안녕하세요, 팔랑크스 크루분들:)서비스팀 10기 정민아입니다. 드디어... 마지막 기획안 시리즈를 작성

        phalanx-club.tistory.com

        한번씩 읽어보시고, 많은 피드백 부탁드려요🥺🥺

         

         

        ✔️a) 내가 도식화 하고자 하는 주제와 그와 관련한 뉴스/블로그 등의 300자 이상의 텍스트 (링크 및 캡처 포함) 

        🔹주제: ‘따로, 또 같이’를 위한 차량 콘텐츠 경험 설계

        🔹관련 기사위 기획안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b) 위 a)에서의 텍스트를 냅킨 ai tool을 활용하여 도식화한 모습 

        위 기획안의 Step4 부분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고,

        마찬가지로 ⚡를 누르면!

         

        이런 형태의 프리즘 다이어그램으로도 시각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신선하게 느껴졌습니다 😊

        기획의 핵심 방향 세 가지가 명확하게 드러나 있어,

        전체 내용을 한눈에 정리하기에 매우 효과적인 구조라고 생각합니다!

         

         

        ✔️c) 위 b)를 도식화하며 느낀 인싸이트 본인의 기획에서의 활용 가능 사항 작성 (10줄 내외)

        이번 드림에이스 기획을 진행하면서 Napkin.AI를 활용해 다양한 시각화 실험을 시도해본 경험은, 기획자로서 정보 설계에 대한 사고방식을 한 단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기술 중심 기업의 UX 전략을 구상하는 과정에서는, 복잡한 구조를 어떻게 시각적으로 단순화하고, 논리적 흐름 속에서 명확히 보여줄 수 있을지가 매우 중요한데, 이때 냅킨는 아이디어를 구조화하고 시각적 맥락으로 풀어내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되어주었습니다. 🛠️

        텍스트를 기반으로 핵심 구조를 도식화하는 과정은, ‘보기 좋은 그림’을 넘어서 기획자가 얼마나 논리적인 연결관계를 설정했는지, 핵심 개념을 얼마나 명확히 잡고 있는지를 스스로 검증하는 과정이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좌석별 UX 흐름’, ‘탑승자 독립성’, ‘상황 기반 큐레이션’이라는 세 가지 전략은 글로만 볼 때는 나열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이를 프리즘 구조나 분기형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했을 때 각각이 어떤 역할을 하고, 하나의 철학(‘따로, 또 같이’) 안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

        Napkin.AI의 강점은 이런 부분에서 특히 빛났습니다.🌟 자동화된 시각화 기능 덕분에 반복적인 수작업 없이 다양한 도식 실험이 가능했고, 핵심 전략을 중심으로 관계를 정리해주는 구조 덕분에 메시지를 정돈하는 데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발표나 제안서처럼 전달력과 인상도 모두 중요한 문서에서는, 냅킨를 통해 기획 내용을 더 설득력 있게 시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 이 경험을 통해, 앞으로는 기획 초안 단계에서도 워드 기반 정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냅킨 같은 도구를 병행하여 초기 아이디어를 구조화된 형태로 시각적으로 구상해보는 습관을 들이고자 합니다. 이는 아이디어를 빠르게 테스트해보고, 전체 구조의 균형을 점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느꼈습니다. 특히 전략 기획, UX 흐름 설계, 서비스 구조도 기획 등의 작업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획자로서, 냅킨 AI를 '흩어진 생각의 맥락을 연결하고,

        논리와 창의성을 동시에 담아내는 비주얼 씽킹 파트너'라고 평가한다.

         

        냅킨, 코 대신 도식화를 정리해드립니다 🧻_끝.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