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9][기획 Tool]리스틀리 : 내가 보고 있는 화면의 데이터는?
유닛 코드 : PXO-202, 선택형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확인하는 사용자 리뷰, 자료조사를 하며 들어가보는 뉴스 탭, 종종 들어가 구경하는 인터넷 쇼핑몰✨
이러한 일상에서 당연하게 이용하고 구경해왔던 인터넷 화면들이 아주 쉽게 데이터화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번 선택형 유닛에서는 TOOL '리스틀리'의 활용방법을 익히며, 스쳐지나가는 모든 곳에서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는 기획자로서 성장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STEP 01 . 리스틀리는 어떻게 활용하는 tool인가요?
활용하기에 앞서 리스틀리를 소개하면,
✨리스틀리✨는 화면에 숨어있는 웹사이트들의 데이터들을 쉽게 모아주는 Tool인데요,
정량적인 근거와 데이터를 찾아 논리적인 기획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겠죠☺️
✔️1. 리스틀리 설치 과정
1. https://www.listly.io/ko로 들어가 '크롬확장 프로그램 추가'를 클릭합니다.
2. 설치 화면의 Add to Chrome을 클릭합니다.
3. 화면 우측 상단에 🧩퍼즐 아이콘을 누른 후 이동합니다.
위 과정을 완료하면 크롬 우측 상단에, 리스틀리가 설치되고,
바로 사용할 수 있게 고정된 것 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검색 화면과 리스틀리 실행 과정
설치했으면 기능을 활용해 봐야겠죠, 저는 최근에 채팅형 ai, '심심이'에 대한 기획 타진 준비를 시작했는데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사용자 리뷰를 통하여, '심심이'에서 가진 문제를 파악해보려고 합니다!
1. 원하는 플레이스토어 앱으로 들어가 리뷰 탭을 클릭해준 후, 우측 상단에 고정해 놓은 리스틀리를 클릭하여 리스틀리를 실행시킵니다.
2. 전체적인 화면의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전체'를 클릭합니다.
3. 추출할 탭을 확인하여 선택한 후, 엑셀, 구글 시트 중 더 편한 형태로 다운 받아줍니다:)
✔️C. 추출된 데이터 화면과 각 라벨에 대한 파악
리스틀리를 통해 나온 결과 화면을 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수 있었는데요
각각 행 별로 LABEL-n 형식으로 임의의 라벨링이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정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LABEL-1 각 리뷰에 대한 링크
✨ LABEL-2 사용자 닉네임
✨ LABEL-5 리뷰 날짜
✨ LABEL-6 사용자들의 리뷰
✨ LABEL-7 리뷰에 공감한 횟수
✔️ D. 도출된 인싸이트
도출된 인사이트로 처음 리스틀리를 실행 했을 때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고 싶었으나 40개 밖에 리뷰가 추출되지 않아, 더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싶어 그 방법을 찾아봤는데요, 그 과정에서 얻은 팁을 드리고자 합니다:)
리스틀리는 업로드된 정보를 모두 데이터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크롤바를 내려, 많은 정보를 업로드하고 난 후 리스틀리를 실행하면 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데요,
왼쪽은, 스크롤을 내리지 않고 바로 리스틀리를 실행했을 때의 결과이고, 오른쪽은, 같은 리뷰 탭에서 스크롤을 충분히 내려준 후 리스틀리를 실행했을 때의 결과입니다.
오른쪽을 봤을 때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했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STEP 02 . 나는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획자인가요?
✔️A. 현재 여러분은 어떤 기획자인가요?
저는 현재 채팅형 AI 어플 '심심이'가 가진 전반적인 문제들을 확인하고, UI, UX의 개선으로 더 많은 사용자들이 거부감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획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B. 현재 여러분이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심심이가 가진 전반적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직접 어플을 이용해본 '사용자의 의견'이 가장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C. 리스틀리를 통해서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나요?
구글플레이스토어 사용자 리뷰, 애플스토어 사용자 리뷰를 수집하여 이용자가 어떤 불편함을 호소하는지 파악하고자 합니다.
STEP 03 . 이 데이터들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A. 내가 활용할 데이터는 무엇인가요?
저는 '심심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중점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들을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LABEL-6: 이용자 리뷰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써 중점적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자합니다:)
✅LABEL-5: 작성날짜
-리뷰 시기별로 이용자의 평가가 다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남겨두고자 합니다
✅LABEL-7: 공감 횟수
-해당 의견에 공감하는 이용자들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여 주요한 의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남겨두었습니다:)
✔️B. 여러분을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고자 하나요?
이제 필요한 데이터를 뽑아서 가공하는 일이 필요한데요,
저는 1️⃣먼저 엑셀을 통해 다듬은 후, 2️⃣CHAT GPT를 이용하여 제가 역량이 되지 않는 부분을 다듬고자 합니다:)
1. 엑셀
1) A에서 언급한 필요한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는 제거했습니다.
2) 최근의 리뷰를 중점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날짜를 중심으로 정렬했습니다
3) 사용자 닉네임을 삭제했기 때문에, 식별하기 좋도록, 앞에 번호를 부여했습니다
4) chat gpt에 입력했을 때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각 행의 이름을 number, date, review, likes로 수정했습니다
2. chat gpt
1) 수정한 엑셀 파일을 업로드 했습니다.
2) review 칸을 중점으로 사용자들이 어떤 불만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게 했습니다
3) 마지막으로 언급된 횟수에 따라 정량화를 진행했습니다:)
✔️C. 여러분들이 활용한 데이터는 어떻게 시각화되나요?
챗 gpt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만들었습니다:)
원래는 파이썬을 활용해서 만드는 법을 배웠다가 chat gpt를 이용했더니 한 마디에 모든 작업이 쉽게 끝나네요😦❗
->리스틀리를 활용하여 웹상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지금 내가 보는 인터넷 화면이 데이터가 된다고⁉️💥😲 >끝.
'💻IT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라 먹는 광고 😋 (2) | 2025.01.12 |
---|---|
스포티비 허브에서 스포츠와 소통을 한자리에서 경험하세요!🤝 (5) | 2025.01.12 |
내 첫 AI 친구... 어떻게 지내고 있더라..?🤔 (5) | 2025.01.11 |
AI 시대에 뒤쳐지지 않으려면? 트렌드와 혁신의 지적 동반자 '티타임즈' (0) | 2025.01.11 |
어떻게 도와드릴까요?_ChatGPT (8)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