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실무 기획] 내용의 구조화 : 이 기획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유닛 코드 : PXE-102, 필수형
1-1. 슬로건과 이미지 ✨

저희 BL 웹툰/웹소설 페어의 슬로건은 바로
Beyond Limit 🚀
인데요!
BL의 이니셜을 차용하여 만든 저 슬로건의 Limit는
①기존에 온라인에서만 소비되던 한계
②사람들의 부정적 인식이라는 한계
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갖습니다💡
1-2. 이 기획의 내용을 정의하는 핵심 사항 📑
1️⃣BL 웹툰/웹소설의 온라인 소비 한계를 넘어 '직접 체험형' 오프라인 경험 제공 🎬
단순한 전시형 이벤트가 아니라 창작자와 독자가 교류하며 선호하는 작품을 더 몰입하여 흥미롭게 소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BL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 및 대중화 목표 🔄
대중을 향한 반복적인 노출 효과로 인해 BL 콘텐츠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개선하고,
일반 대중들도 지나가며 BL 콘텐츠에 자연스레 노출되고 접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을 조성한다 🌈
3️⃣BL 산업의 확장 및 타 산업과의 협업 기회 제공 🚀
타 산업군과 협업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의견 수렴을 도와 성공적인 제품 및 서비스 창출을 돕는다 🤝💡
1-3. 이 기획의 내용에서 개념과 구상 중 제외될 요소 ❌
단순한 전시 중심 행사
단순하고 일방적인 전시만을 중심으로 하는 행사는 이번 기획에서 제외되며, 인터랙티브 콘텐츠나 창작자와 소비자의 교류 및 의견 제안 등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체험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
온라인 스트리밍 및 비대면 행사 🚫
본 행사는 오프라인 경험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므로, 온라인 스트리밍 및 비대면 이벤트는 포함하지 않는다 ❌
2. Top Block (최상위 기획 요소) 🔝
BL 존(By Leap Zone)
이 공간의 BL은 Boy`s Love가 아니라, 너머로 도약하다는 뜻의 Beyond와 Leap 두 단어를 합성하여 만든 단어입니다. 두 가지의 한계를 깨고 그 너머로 도약하겠다는 우리 페어 메인 슬로건의 철학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핵심 공간입니다.
(1) BL 작품 속 세계관을 오프라인에서 구현하는 체험형 전시 운영
(2) 방문객이 직접 스토리의 일부가 되어볼 수 있는 인터랙티브 VR 콘텐츠 제공
(3) 창작자의 작업 과정과 철학을 공유하는 토크 세션 및 마스터클래스 진행
(4) 맛보기 읽어보기를 통해 독자가 취향에 맞는 작품을 발견하고 추천받을 수 있는 큐레이션 시스템 도입
(5) 게임이나 이벤트 존을 형성해 코인 할인권이나 특정 작품 코인 30개 지급권 등 이벤트 경품 지급
블룸 존(Bl Room Zone)
피어나다라는 뜻을 갖는 bloom과 BL + Room을 합친 단어의 발음이 유사한 것에서 착안하여 이름을 붙인 공간으로, 누구나 부담없이 한 번 쯤 BL 콘텐츠를 접해볼 수 있어 나도 몰랐던 새로운 세계에 꽃이 피듯 흥미가 피어나고, 이 안에서 이야기 꽃을 피우며 그 깊이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1) 열린 공간 조성
- 초심자나 외부인을 위한 'Welcome Panel'을 설치해 BL이란 무엇인지 그 역사/장르/현재 트렌드/해외 사례 등을 짧고 간결하게 소개하고,
“왜 BL을 좋아하는가?”에 대한 실제 팬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록
- 짧은 BL 관련 애니메이션/뮤직비디오/OST 등을 상영해, 감각적이고 아름다운 영상과 음악으로 감정적인 거리 좁히기
(2) 페어 참가자 뿐만 아니라 외부인에게도 개방된 카페 운영
- 페어 테마 음료/디저트 판매
- 메뉴의 이름을 콘텐츠에서 따온 이름으로 지어, 자연스럽게 콘텐츠에 노출시키고 그에 대한 흥미 유도
BL 콘텐츠의 산업적 확장 가능성 제시 📊
(1) 타 산업과의 협업을 통한 BL IP 확장(출판, 굿즈, 게임, 음악 등)
(2) BL을 소재로 한 다양한 브랜드 컬래버레이션 및 신규 프로젝트 기획존 마련
ex.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 캐릭터들과 한복 공방이 협업한 한복 제품 전시 및 구매
(3) 프로토타입 굿즈를 페어 방문객 중 랜덤으로 지급하여, 실제 사용 후기나 추가 아이디어 등을 얻어 추후 실제로 제품화하는 데 참고
(4) 페어 회차별로 콘셉트를 지정하고 페어 현장에서만 살 수 있는 한정판 굿즈 판매존 구성
'🔯브랜딩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툰 생태계 빅뱅: 신인 작가 부흥과 탐험 섹션 혁명!🚀(2/2) (0) | 2025.04.05 |
---|---|
🏠💫글로벌한 '우리의 다방'_제안의 타진(3/3) (0) | 2025.04.05 |
라프텔! 너만 알지 말고 우리도 좀 알려줘봐😭🥹 (1) | 2025.04.05 |
나니가 스키? 웨이팅 맛집보다도 현.픽.맛!(현대카드가 Pick한 맛집) (4) | 2025.04.05 |
당근 중고차, 3C전략으로 점유율 올릴 수 있다?![1/N]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