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카카오톡 선물하기😎 일상에 스며든 그 이름!

        by 오윤서 | 서강대 | 글로벌한국학과 | 네이버 2025. 5. 24.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최근에 '나에게 선물하기' 탭으로 화제의 중심이 된 (에세이 주제이자 기사글이 도배된 상태😲)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에 대한 레퍼런스 분석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물론 이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다양한 추천 기능에도 불구하고,
        실사용 후 후기를 남기고 추천하는 유튜브 영상들은 아래와 같이 계속해서 많이 서치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저도 유튜브에서 추천을 받았던 기억이 있네요☺️

         
        하지만 아래에서 소개할 높은 소비자 이용률과 60% 정도에 달하는 소비자 만족도 수치를 통해 이것이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기능 부족이라기보다는, 실제로 다양한 선물하기 품목들 중 자세한 리뷰 영상을 찾아보는 것을 통해 구매를 선택하게 되는 조력 요소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카카오톡은 더 노력을 기울여야겠죠! (이와 관련되어 추후 필수 유닛을 통해 서비스의 개선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톡 선물하기가 지금까지 성장한 과정과 성장 결과를 살펴볼까요?

         

        STEP 01 .   어떤 기획 레퍼런스 살펴보나요 ? 

         
        카카오톡은 원래 수익모델이 따로 없는 기업이었습니다. 그런데, 사용자가 늘면서, 어떻게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고민을 더해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출처 = 카카오)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입니다!

         
        현재 카카오톡은 국내 선물하기 시장에서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 관계 중심적인 기획의도와 전략으로 선물을 주는 사람의 니즈와 받는 사람의 니즈 모두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사용자들에게 선물을 주고 받는 문화가 어렵고 힘든 과정이 아닌
        편하고 재밌는 이벤트로 느끼게끔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선물을 주고 받는 다양한 상황에 맞출 수 있는 유연한 전략으로 다양한 사람들의 입맛을 맞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최근에도, 나를 위한 선물하기 탭을 만들어 기존의 서비스를 확장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 분석해 볼 내용은 '카카오톡 선물하기'입니다.
         
        <출처>
        - https://letter.wepick.kr/510/4430266/, 카톡이 나를 위한 선물을 추천하는 이유
        -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6624, 커머스 기업 아닌 카카오가 '선물하기'를 성공시킬 수 있었던 이유, “진심은 통하니까”
         

         

        STEP 02 .    기획이 어떤 변화 가져왔나요? 혹은 가져오지 않았나요(Before - After)

         

        [기획의 수익원💰]

        해당 서비스의 주 수익원은 '판매 수수료'로 현재에도 '선물하기' 매출액에 대한 판매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획의 매력 포인트]

         

        A. 높은 접속 빈도 기반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만큼, 이미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쉽게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 다른 플랫폼보다 사용에 있어 편의성을 지니고 있다. 
         

        B.  시간과 에너지의 절약

        이커머스 분야에서 선물 선택에 드는 시간과 에너지를 크게 절약시켰다. [by. 톡을 통한 선물 전달 + '위시 리스트' 시스템]
         

        C. 이커머스 속 구매 행위의 의미를 확장

        커머스 분야에서의 구매 행위는 보통 소비자 본인이 필요해서 편의에 의해 상품을 구매하는 행위로 여겨졌음. => 이를 "지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대방에게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 선물🎁🎁하는 행위"로 새롭게 정의.

         
        D. 관계 지향성과 휴머니즘

        오랫동안 연락이 끊겼던 친구와 자연스럽게 안부를 주고 받거나, 고맙거나 축하할 일이 있을 때 그 마음을 어색하지 않게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ex) 2015년 도입된 '메세지 카드' 서비스, 업데이트 되는 '생일인 친구' 표시, '위시리스트'로 취향을 공유받고 원하는 선물을 선물 받게 함, '쓸데 없는 선물'의 카테고리화도 서로 웃으며 생기는 추억 등의 '관계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라고 볼 수 있음.
         

        E. 다양한 카테고라이징

        '20대가 좋아하는 선물', '여자가 좋아하는 선물', '생일선물로 가장 많이 받은 선물' 등으로 카테고라이징하여 선물을 주는 사람의 고민을 덜어주었다. 

         
        F. 사용자 범주의 확장(카카오톡을 넘어)

        '코드 선물'이라는 기능으로 선물 코드 만들기를 선택해 결제한 뒤 생성된 코드 번호를 문자나 SNS 등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하면 되어, 카카오톡 친구가 아니더라도 선물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했다

         
        G.  비대면

        상대와 채팅 중에 언제라도 쉽고 빠르게 선물을 보낼 수 있다는 점이다. 대화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고 대면하지 않아도 정성을 전달할 수 있다. 제일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출처>
        - https://jhxxn919.tistory.com/20, [W5D2] 카카오톡 선물하기로 보는 AARRR 모델
        -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5451, 온라인 선물하기 시장의 주요 트렌드 변화 
        -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6624, 커머스 기업 아닌 카카오가 '선물하기'를 성공시킬 수 있었던 이유, “진심은 통하니까”
        - https://www.mobiinside.co.kr/2023/02/08/kakao-gift/, [기획자의 시선으로 본 세상] 카톡 선물하기는 왜 성공할 수밖에 없을까?
         
         

        [Before]

        1.    출시 당시 거래량은 300억원에 불과했다. 
        2.   카카오톡이 이커머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없었다. 애초에 수익모델이 없었던 때가 있었다. 

        [After]

        1.   e-쿠폰 서비스 및 모바일 선물하기 관련 조사(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 전체응답자 중 87.8%가 ‘생일이나 기념일 등에 모바일 선물하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상화된 것같다’ 평가했다. 
        2.   2019년 1조 8039억원에서 2023년 3조 8184억원으로 성장할 만큼 거래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출처>
        -  https://www.kfood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012, '카카오톡 선물하기', 이제는 생활 필수 아이템
        -  https://dbr.donga.com/article/view/1901/article_no/11428/ac/a_view,주소 몰라도 되고, 받는 사람이 옵션 선택...'색다른 경험'으로 선물 문화의 틀 바꿔
        - https://brunch.co.kr/@bydot/6, 받는 경험에서 시작하는 '카카오톡 선물하기' 분석
        -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091212202047524#, [단독] 카카오 선물하기 거래액, 코로나 거치며 2배 늘어…연평균 3조원

         

        STEP 03 .   기획에 대한 본인의 결과 평가 ? (--)

         
        -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집중하여 선물하기 서비스를 개발, 그러한 의도로 만든서비스의 여러 면모가 사람들의 마음에 와 닿는 데 성공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압도적인 이용률을 기록함

         

        -       정신적, 육체적으로 부담이 되는 선물 선정과 구매의 과정을 덜 부담스럽게 만드는 데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  만족도 비율 59.1%🤗 에 달함(출처 = https://jhxxn919.tistory.com/20 )
        with 다양한 방법들 ex. 코드선물) 개인정보나 프로필 노출 없이 익명으로도 선물이 가능함. 

         

        -       2020년 공개된 자료 ) 10년 만에 서비스 누적 경험 고객 수 3800만 명, 하루 이용자 수50만여 명이라는 수치 기록, 2022년 11월 유통 및 IT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선물하기시장 규모 5조원 중 3조 3000억원 차지에 성공🎊🎊했습니다. (출처 =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6624 )

         

        STEP 04 .   내가 담당 기획자였다면  가장 고심했을 부분(1가지 detail)

         
        선물을 주고 받는 과정에서는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은 만큼, 평상시 사람들이 선물을 주고받는 과정을 잘 복기해 보면서 ‘서운함’이라는 감정을 덜 들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고심했을 것 같습니다. 선물이라는 것은 잘 전달된다면 사람들에게 감동과 재미 등의 긍정적인감정을 가져올 수 있지만, 편지 메세지가 없거나, 받는 사람의 취향을 타는 물건을 일방적으로 선택해 준다든가 하는 사소하지만 큰 이슈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물을 사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의 다양한 취향과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고심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현재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인 ‘선물받는 친구가 옵션 선택하기’, ‘위시 리스트’, 다양한 ‘편지지’와 ‘편지봉투’ 등이 그 결과로써 나온 결과물이었던 것 같습니다.
         
        <참고>
        - 카카오톡선물하기사용자경험연구: 20대의소비행태와심리분석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