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그거 있잖아... 그 멋있는거.... 그게 대체 뭔데???😠😠💢 [정량화]

        by 안아원 | 명지대 | 문헌정보학과 | toss 2024. 5. 4.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1][기획principle]정량화: 기획이란, 느낌이 아닌 숫자로 쓰여진다.

        PXO-101,선택형

         

        아니 근데 그거... 있잖아 그거... 그 이쁘고 멋있고 예술적이고 그런거...

        그게 대체 뭔데???!!! 😠😠💢

        혼자서 이것저것 상상한 기획들을 결과물로 내고 싶은데,
        -막상 말로 표현하고 나면 내가 생각했던 그 기획이 아니였던 경험
        -다른 사람에게 전달 되었을 때, 내가 하고싶었던 말과 다르게 이해해서 🙄답답했던 경험

         

        다들 한 번쯤은 있으시지 않으신가요??

         

        그렇다면 모두가 정확하게 나의 기획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오늘의 주인공인 '정량화'를 통해서 내 생각이 '정확하게 나타나는 기획'을 만들어나가보자구요~ヾ(•ω•`)o


        STEP1. 정량화의 '효과'

        먼저 일상에서의 대화를 들여다보겠습니다.

        "아 과제 너무 많아..."
        "이 카페 분위기 좋고 예쁘대!"


        다음과 같은 두 일상적인 대화에서 공통점을 찾으실 수 있으실까요??🤔

         

        바로 두 대화의 공통점은 두 대화 모두 대상에 대한 표현이나 자신의 생각을 '많다', '분위기 좋다', '예쁘다'등의 형용사를 주로 이용하여 표현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생각의 표현과 전달의 면에서, 형용사는 좋은 표현 방법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나는 과제가 너무 많다고 생각했는데, 누군가는 이정도면 쉽게 끝내는 과제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형용사는 주관적인 생각에서 나온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ㅎ

         

        기획에서 만큼은 정확한 생각의 표현과 전달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저.. 배달의 민족앱에서 사람들에게 AI로 적합한 가게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기획할거에요!"

         

        이 멘트를 보고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 저는 다음과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1. 사람들에게 적합한 가게를 추천했다는 정확한 기준이 뭐지?
        2. 다음 기능을 어떤 방식으로 구현해야하며 그에 따라 얼마만큼의 비용이 들지?
        3. 해당 서비스를 개발해내는데 얼마나 걸리지

        위와 같이 의문점이 들면서 이 멘트를 말한 사람이 어떤 기획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기 힘들지 않나요?

         

        그럼 이건 어떨까요?

        "저.. 배달의 민족 앱에서 2년 이내에 5000만원을 투자하여 가게를 추천받은 사람 중 70%이상이 별점 4.5점을 남길 수 있도록 가게를 추천해주는 AI기능을 기획할꺼에요!"

         

         이전의 멘트에 비해 어떠한 방법으로 기획이 실현되어나갈지 더 명확하게 보여질 것입니다.

         

        이와 같이 숫자를 통한 정량화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듣는 사람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좋은 도구입니다.


        STEP2. 정량화의 '범위'

        정량화는 많은 사람들이 정확히 내 기획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 좋은 도구이기에 꾸준히 숫자를 통해 기획을 표현하려는 연습이 필요할 것 입니다!

         

        저는 정량화, 즉 숫자를 통한 표현은 매일 보는 표, 그래프에서나 가능 할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요, 하지만 생각보다 추상적인 부분까지 정량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아시나요??

         

        바로 제 💕이상형💕을 정량화함으로써 정량화를 연습해 보겠습니다 .^__^.

         

        우선 정량화하지 않은 제 이상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신의 가치관과 생각이 뚜렸한 사람
        2. 성실한 사람
        3. 웃는게 예쁜 사람

         

         

        이것들을 정량화 해보겠습니다!

        1. 버킷리스트를 적으라고 했을 때, 5분 안에 바로 30개 이상이 나올 수 있으며
            5분 안에 인생은 무엇일까? 라는 질문에 400자 이상 써낼 수 있는 사람✨

        2. 하고있는 일, 목표하는 것이 3개 이상이고
            이를 위해 하루 4시간 이상을 사용하고 그 달성률이 80%이상인 사람✨

        3. 웃을 때 평소의 표정보다 눈꼬리가 20°이상 내려가며 입꼬리가 3cm 이상 15°이상 올라가는 사람✨


        STEP3. 실무 기획상 정량화의 '주요 원리'

        이제 정량화를 실무에 적용하는 연습을 해볼까요?

        [toss에서의 자전거, 따릉이빌리는  '따릉이 타기'출시]  

        [원스톱 서비스 출시를 통해, 기존 4100만건의 따릉이 이용 횟수를 가졌으나, 그 중 이용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330만명의 비교적 적은 회원 수를 가졌던 따릉이의 고객을 1500만 이용자를 가진 토스앱을 통해 500만 이상의 정기이용자를 확대할 계획.]

        출처: toss feed

         


        ->정량화는 기획을 설득하고 신뢰감을 주는 좋은 도구이다.

        <그거 있잖아... 그 멋있는거.... 그게 대체 뭔데???😠😠💢 [정량화]>-끝.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