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기획Tool] 노션 : 내 기획(구상)을 DB로 보여주자!
유닛 코드 : PXO-203, 선택형
안녕하세요, 팔랑크스 여러분!👋
요즘 모르는 사람이 없는 노션, 잘 활용하고 계신가요?
(혹시 그냥 메모장처럼만 쓰고 있진 않으셨나요? 왜냐하면 제가 그랬기 때문이죠..😅)
노션(Notion)은 단순한 메모 도구를 넘어 기획, 관리, 협업까지 지원하는 올인원(All-in-one) 작업 도구입니다. 다양한 템플릿과 기능을 활용하면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팀원들과의 협업도 한층 더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팔랑크스 활동 대부분도 이미 노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듯이, 기획자로서 이 도구를 제대로 활용하면 훨씬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결과를 만들 수 있답니다!
오늘은 기획자로서 노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해드릴텐데요,
모두 함께 노션 마스터가 되어 더 높은 생산성을 경험해봅시다!💪
STEP 01. 가시성과 항목화(템플렛) 💫
노션에서는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기획과 정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템플릿'은 미리 설정된 구조로, 필요한 항목을 빠르게 정리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노션의 다양한 템플릿 중 하나를 사용해보고,
이 경험을 통해 기획 과정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 내가 찾은 템플렛과 이 템플렛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획 주제’
✔️ 내가 찾은 템플릿 : [Notion] 카이스트생의 혼과 한이 담긴 플래너 노션 템플릿 공유 - YouTube
✔️ 이 템플릿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획 주제
저는 노션을 활용하여 이번 주에 새롭게 필수형 유닛에서 기획을 시작한 '스노우의 새로운 AI 사진 편집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플랜을 세워볼 것입니다. 이 템플릿을 통해 서비스의 주요 기능, 타겟 고객, 일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획을 단계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스노우 인턴 준비하다가… 결국 내가 서비스까지 기획하게 된 이야기🔥
위 기획안 한번 읽고 오시면 앞으로 진행 상황을 이해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
b) 위 a)를 실제 ‘사용’ 한 과정과 해당 템플렛의 링크 + 캡처
✔️ 템플렛의 링크
https://ubiquitous-polka-b43.notion.site/Planner-Routine-f6d8a99145184d2a9f74b4474ef279ea
✔️ 관련 캡처
① 데일리(Daily) 루틴
② 먼슬리(Monthly) 루틴
(아래쪽 사진과 같이 1일부터 31일까지의 일정을 입력했는데, 오늘이 19일이라 그런지 월별 전체 일정이 아닌 오늘 하루 일정만 나오더라구요!^^;;)
③ 위클리(Weekly) 루틴
④ 프로젝트 계획
⑤ 프로젝트별 to do list & 타임테이블
c) 위 b)를 진행하며 이 템플렛의 각 요소에서 본인이 느낀점
🥰 좋은 것 :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을 한 페이지 안에, 일일 루틴/주간 계획/월간 일정별로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할 수 있음.
🥲 아쉬운 것 :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작업에 얼마든지 변동사항이 있을 수 있는데, 현재 구조가 고정적이라 변경이 불편해보임.
이 노션 템플릿을 활용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 daily / weekly / monthly 일정이 한 페이지 안에 정리되어 있어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고, 흐름을 놓치지 않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덕분에 일정이 명확해지고, 계획을 실행하는 데 있어 보다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다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예상보다 오래 걸리는 작업이 생기거나 우선순위가 바뀌었을 때 일정 조정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는 점이 아쉬웠다. ⚡ 계획이 고정적인 형태로 정리되다 보니 유연한 변경이 쉽지 않았고, 이에 따라 작업이 지연될 경우 전체 일정에 미치는 영향을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아쉬운 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연한 일정 조정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더욱 실용적이었을 것 같다. 예를 들어, 작업 우선순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드래그&드롭 기능이 있거나, 예상보다 오래 걸리는 작업을 반영할 수 있도록 딜레이된 일정 자동 조정 기능이 있으면 좋았을 것이다.
STEP 02. 타 프로그램과의 연동성(임베드) 🖥️
노션에는 다양한 외부 콘텐츠를 한 페이지 안에 통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 '임베드(Embed)'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YouTube 영상, Google Docs, Figma 디자인 등 다양한 서비스와 노션을 매끄럽게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만들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임베드를 통해 노션과 외부 서비스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a) 내가 연동하고자 하는 타 서비스와 그 이유 명시
✔️연동하고자 하는 타 서비스 : https://whimsical.com/
Whimsical - Unite teams, tasks, and tools in one place
From brainstorm to launch—plan, create, manage, and communicate in one workspace. Experience the difference of calm, focused work for you and your team.
whimsical.com
✔️이유 : Whimsical은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도구로, 마인드맵/플로우차트/와이어프레임/스티키노트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스노우의 AI 사진 편집 서비스 기획에서 '유닛2. 내용의 구조화' 단계에 있기 때문에, 블록트리 구조를 만들기 위해 마인드맵 기능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b) 위 a)를 실제 임베드한 페이지의 캡처와 그 과정 서술
① Step1에서 이용한 템플릿의 빈 공간에,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Embed' 기능을 적용시킵니다.
② 간단히 임베드 기능의 소개가 나오는데, 여기서 'Embed Link'에 연동하고 싶은 링크를 입력합니다.
(Upload에서는 컴퓨터 내의 문서 작업 등을 업로드하여 파일을 연동시킬 수 있습니다.)
③ 임베드 결과
이와 같이, 노션의 임베드 기능을 활용하면
별도의 Whimsical 사이트에서 작성한 블록트리를 노션 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답니다!
c) 위 b)를 진행하며 본인이 임베드시킨 이 연동이 본인의 실무 기획에서 어떤 활용성을 지닐 수 있을지 예상
Whimsical에서 작성한 스노우의 AI 사진 편집 서비스 기획을 위한 블록트리 마인드맵을 노션에 임베드함으로써, 기획 진행 상황을 한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생겼습니다. 노션 페이지 내에서 마인드맵을 직접 확인하면서 각 단계와 세부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기획의 흐름을 놓치지 않을 수 있으며, 더욱 유연한 관리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이를 팀원들과 공유할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임베드 기능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프로젝트 관리와 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진행 상황의 추적과 업데이트가 용이해져 프로젝트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노션에서 마인드맵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변경 사항을 즉시 반영하고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 기획안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STEP 03. 자율 페이지 구성(활용)🗽
a) 내가 본 페이지에 정리하고자 하는 ‘주제’ 와 그 이유 명시
✔️ 주제 : ‘Snap Now, Open World’ 서비스의 AI 편집 및 개인화 기능✨
✔️ 이유
1)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획: 노션은 사용자 경험 설계를 한 곳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계획을 도와줌.
2) 사용자 경험 흐름의 시각적 정리: 각 단계별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하여 서비스의 일관성을 높이고 명확한 설계를 할 수 있음.
3) 시각적인 데이터 통합: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와 텍스트를 통합하여 사용자 경험 흐름을 시각적으로 잘 전달하고, 전체적인 맥락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
b) 위 a)를 실제 진행한 페이지의 캡처과 그 과정 서술
필수형 유닛에서 하고있는 SNOW의 새로운 서비스 기획, 'Snap Now, Open World' 프로젝트를
노션에 다음과 같이 진행해보았습니다!
우선 메인 블록인, 『 TB02. AI 편집 및 개인화 기능 』에 초점을 맞추어보았습니다.
① All Projects - 모든 UB들을 한눈에 볼 수 있음
② 각 UB별 프로젝트 세부사항 페이지
노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가, 글 내용을 접었다 펼 수 있는 '토글(Toggle)📂'이었는데요!
AI 편집 기능의 세부사항에 대한 예시를 토글 안에 포함하여, 필요할 때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가독성이 향상되고 문서가 더욱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하였습니다.
③ 프로젝트 Gantt Chart
다른 크루분들의 간트차트를 볼 때마다 노션으로 작성한 경우가 많아서,
'어떻게 만드는 거지...?🤔' 하고 늘 궁금했는데,
이번 선택형 유닛을 통해 드디어 배워갑니다!:D
링크 공유🔗: https://www.notion.so/19f02b67eab380229f75f0b01333c6bb?v=19f02b67eab380af8be8000ca81ddced&pvs=4
c) 위 b)를 진행한 후 본인이 결과물을 보면서 느껴지는 ‘노션’ 의 효과와 느낀점
노션을 사용하여 'Snap Now, Open World' 서비스의 AI 편집 및 개인화 기능을 정리하면서 효율성과 가독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토글 기능을 활용해 세부사항을 숨기고 필요한 정보만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문서가 깔끔하게 정리되었고, Gantt Chart를 통해 프로젝트 일정을 한눈에 파악하며 일정 관리가 쉬워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정리와 멀티미디어 통합 덕분에 서비스 기획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맥락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텍스트와 이미지를 한 페이지 내에서 결합하면서 기획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노션을 활용한 기획 정리는 앞으로의 기획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노션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불필요한 부분을 정리하면서 문서가 점점 더 가독성이 높아지고, 작업 효율도 훨씬 개선되었습니다. 노션을 통해 기획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더욱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아이디어를 다듬고 발전시킬 수 있었고, 이 점에서 노션의 효과적인 커스터마이징이 정말 유용하다🎨는 점을 실감했습니다.
기획자로서,
노션(Notion)을 활용한 체계적이고 시각적인 기획 정리가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가독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아이디어의 발전과 협업을 원활하게 지원한다고 평가한다.
"노션(Notion)"? 메모장 아니죠~ 이젠 똑똑하게 써봅시다!_끝.
'🎀서비스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시즌 화려하게 마무~리🌟(더블유컨셉에 타진 완료!) (1) | 2025.02.22 |
---|---|
굳이 카카오페이를 쓰는 이유가 뭐긴 ❌💸❌ (8) | 2025.02.22 |
구조화 툴, 흑요석(Obsidian) (0) | 2025.02.17 |
스트리밍 서비스에 AI가 필요해 ?! (6) | 2025.02.17 |
나랑 리뉴얼 된 왓챠지껄할래?🍿 (6)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