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지그재그: 옷, 패션 아이템 선물할 때 사이즈 고민, 취향 고민 이젠 그만해!!🤪❤️

        by 진영빈 | 동국대 | 경찰행정학부 | 디즈니 2024. 5. 4.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 1. [실무 기획] 니즈의 파악 : 누구에게 어떤 기획이 필요한가?

        STEP 01. 나의 기획은 '누구'에게 필요한가요?
        STEP 02. 나의 기획은 '무엇을' 해결하나요?
        STEP 03. 그 문제는 '왜' 발생하였나요?
        STEP 04. 그 문제는 '어떻게' 해결되나요?
        STEP 05. 이 문제가 해결되면, 이후 '어떤 효과'가 창출되나요?
        STEP 06. 나의 기획의 방향과 목표는 이렇습니다.

        STEP 01. 나의 기획은 '누구'에게 필요한가요?

        1. 옷과 아이템을 판매하는 지그재그 쇼핑몰에게 👚

         

        대학생 여러분! 지그재그 몰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시나요? 😀

         

        실제로 지그재그는 4000명이 선택한 쇼핑 플랫폼으로 MZ세대의 패션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지그재그의 영업이익, 그리고 월간 활성 이용자 수의 급감이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 모바일인덱스

         

        4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그재그의 대표 경쟁사인 에이블리의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지난해 1 674만명에서 올해 1 771만명으로 14.4%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국내 패션 플랫폼 업계 3위인 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의 지난 2월 월간활성이용자(MAU)251만여명으로 1년 전인 작년 2(373만 명) 대비 32.6%가 줄었습니다. 또한, 영업이익은 2020년 이후로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2년에는 518억원의 손실이 있었습니다.

         

        2. 옷, 패션 아이템의 선물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

        오늘 친구 생일이네? 이 친구는 패션에 관심이 많은 친구인데...
        이 친구가 좋아하는 스타일이 뭐지? 선물이 마음에 안들면 어떻게 해야하지?
        사이즈가 안맞으면 어쩌지? 

         

        지인, 친구들에게 선물을 할 때, 너무나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불편하실 겁니다. 이러한 모두의 고민을 덜어줄 수 있는 서비스,

        바로 지그재그 기프트카드 서비스입니다

        지그재그, 4000만이 선택한 MZ 세대 대표 쇼핑 플랫폼

        STEP 02. 나의 기획은 '무엇을' 해결하나요?

         

        옷이나 패션 아이템을 선물할 때는 취향사이즈가 고려되어야 합니다.

         

        실제로 20대 대학생들에게 직접 물은 결과, "실제로 서프라이즈 선물을 하는 경우에는 카테고리의 취향이 갈리고 사이즈라는 장벽이 생겨 옷이나 악세사리 선물을 꺼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좋아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좋아하지 않았던 경험이 있어 취향을 많이 타지 않는 선물을 하게 되었다"라고 답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환 가능 영수증을 첨부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수반하게 됩니다. 

         

        취향과 사이즈가 특히 더 중요한 '패션몰에서의 기프티콘'은 큰 메리트를 가져옵니다.

         

        출처: 대학 내일 20대연구소

         

        MZ세대는 친구, 지인을 위한 선물로 대부분 기프티콘을 사용하곤 합니다. 대학 내일 20대 연구소가 2021년 11월 전국 만 15~40세 남녀 900명을 조사한 결과, 최근 6개월 이내에 83%가 모바일 교환권을 이용한 적이 있으며, 84.7%가 타인에게 받아 내가 직접 이용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사람들은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식]에 대해 91.3%가 "누군가에게 간편하게 선물을 할 수 있어 편하다"라고 답했고, 74.1%, 70.5%가 "선물하는 것이 일상의 소소한 기쁨이 되는 느낌이다, 선물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적어진 편이다"라고 답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올리브영 기프트카드 2018년에 출시되어 2년만에 누적 판매액 700억원을 돌파한 실적으로 보아, 모바일 금액권이 가져오는 파급력을 알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지그재그 기프티콘은 패션과 잡화 선물을 피하게 된다는 이유를 없애주며, 이는 최근 실적이 부진한 지그재그의 매출 상승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문제 상황]
        에이블리와 비교한 실적 부진: 지그재그의 지난 2월 1년 전인 작년 2월(373만 명) 대비 32.6% 감소
        [분석 근거]
        1. 타 쇼핑몰의 색다른 창업 지원 서비스 등 도입
        2. 중국 이커머스 시장의 패션 분야 잠식 시도
        3. 지그재그 쇼핑몰의 개인정보 유출 사례

        https://www.i-boss.co.kr/ab-6141-63455
        https://news.bizwatch.co.kr/article/consumer/2024/04/04/0043
        https://www.mk.co.kr/news/business/9717180
        https://www.madtimes.org/news/articleView.html?idxno=11401

        STEP 03. 그 문제는 '왜' 발생하였나요?

        지그재그는 에이블리와 다르게 상품별 판매 추이, 키워드 트렌드, 고객 구매 특성 등 데이터 분석 솔루션과 판매자 교육, 신규 기능 우선 체험 기회 등을 제공하는 유료 구독 서비스인 '파트너 플러스'를 운영 중이지만, 창업지원 서비스인 '에이블리 파트너스'로 전년 대비 매출이 13%가 상승한 에이블리에게는 여전히 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더해 현재 중국 이커머스가 초가성비로 패션 분야까지 잠식하려는 상화이기에 소비자 대상 마케팅 전략이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따라서 지그재그 매출을 올리기 위한 차별화된 기획이 필요하기에 사람들이 부담없이 구매하기 편리한 기프티콘을 제작하였습니다. 

        문제의 원인
        1) 지그재그는 개인정보 유출 사례와 타 쇼핑몰의 새로운 서비스 제공 등으로 최근 영업이익과 MAU의 부진을 가져오고 있다.

        STEP 04. 그 문제는 '어떻게' 해결되나요?

         

        1. 지그재그 기프트카드 출시

        제가 미대가 아닌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

         

        지그재그 주 이용자는 10대가 14.6%, 20대가 22.7%, 30대가 14.4%이기에 이들이 주로 선물하는 금액인 2만원,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의 기프트카드를 기획하였습니다. 

         

        2. 지그재그 기프티콘에 글귀와 사진, 디자인 등을 넣을 수 있는 기능

        모바일 금액권의 단점이라면 바로 정성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그재그 기프티콘'에 자신의 마음을 담을 수 있는 글귀, 사진, 디자인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3. 감사티콘으로 마음 전달하기

         

        출처: 지그재그 오늘의 온도 상품사진

         

        감사티콘은 선물받은 기프티콘으로 주문을 하였을 때, 상품 사진과 글귀를 삽입하여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는 카드입니다. 이 기능은 기프티콘이 단순히 내가 원하는 물건에 자금을 보태어 샀다는 느낌에서 벗어나, '이 옷이 너가 해준 선물이야'라는 것을 전할 수 있습니다.

         

        4. 최종 목표는 카카오톡 선물하기 입점

        출처: 대학내일 20대연구소

         

        대학내일 20대 연구소의 2021년 11월 전국 만 15~40세 남녀 900명의 92.4%가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을 사용하며, 91.7%가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지그재그는 카카오에서 인수한 쇼핑몰이기에 기프티콘이 출시되면 카카오 선물하기 기능에 도입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1. 지그재그 기프트카드 서비스를 도입하여, 선물 시 불편함으로 인해 다른 카테고리와 쇼핑몰로 유출되는 고객을 잡는다.
        2. 정성이 부족하다 인식을 줄 수 있는 기프티카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마음을 담을 수 있는 글귀, 사진 입력 서비스와 감사티콘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도입한다.
        3. 지그재그가 카카오에서 인수한 쇼핑몰인 것을 이용하여, 기프트카드를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에 도입한다.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mz-fashion-2021-2/

        STEP 05. 이 문제가 해결되면, 이후 '어떤 효과'가 창출되나요?

         

        현재 mz세대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에이블리, 지그재그, 브랜디, 29cm, 무신사 모두 기프티콘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상대의 취향고민이 어려울 때, 상대의 사이즈를 물어보기 민망할 때, 서프라이즈 선물이 어려울 때, 

        '지그재그 기프티콘'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될 것입니다. 이는 패션 잡화를 선물하기 꺼려져 다른 카테고리나 쇼핑몰로 유출되는 고객들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에 더해, 차별화된 기프트카드 서비스로 인해 지그재그 쇼핑몰 사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그재그 기프트카드를 선물 받게 되면, 지그재그 몰에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평소에도 지그재그를 서핑하며, 관심상품에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찾아 넣어놓게 될 것이고, 이는 지그재그에 대한 소비자 충성도와 매출증가를 가져오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타 쇼핑몰에 없는 서비스이므로, 지그재그가 카카오 계열사라는 장점을 이용하여 출시한 기프티콘을 카카오 선물하기까지 도입한다면, '패션 아이템 기프티콘은 지그재그 기프티콘'이라는 인식이 굳어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2. 기프트카드의 순매출 증가는 지그재그의 장기적인 영업이익과 소비자 만족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3. 타사와 차별화된 서비스로 지그재그 유입률과 소비자 충성도가 증가할 것이고 이는 매출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STEP 06. 그래서 기획의 목표는 이렇습니다!!

         

         

        ✨기획자로서,

        위 목표는, 지그재그의 기프티콘 카카오톡 선물하기 입점 통하여
        다른 카테로리로 빠져나가는 소비자들을 모으고

        지그재그의 MAU와 기프트카드 매출액을 성장시킬 것으로 평가한다.


        지그재그, 옷, 패션 아이템 선물할 때 사이즈 고민, 취향 고민 이젠 그만해!! 🤪❤️ _끝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