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실무기획] 레퍼런스 분석: 이 세상에는 어떤 기획들이 있는가?
커리큘럼 코드: PXE-105
STEP 01. 어떤 기획 레퍼런스를 살펴보나요?
여러분 여행 좋아하시나요??! 저는 여행다니는 걸 너무너무 좋아해서, 실제로 별명이 ‘홍길동’이랍니다..(하핫)
해외에 나갈 때, 혹은 국내 장거리 여행을 할 때 우리는 비행기를 이용하죠!
현재 우리나라에는 무려 11개의 국적항공사*가 존재합니다!
항공사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범위에 따라 FSC(Full Service Carrier)와 LCC(Low Cost Carrier) 두 가지로 나뉘는데,대한항공, 아시아나 두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9개사가 모두 LCC에 해당합니다.
*국적항공사: 한 나라의 국적을 가지고 있는(소속되어 있는) 항공사
이 치열한 LCC 시장에서, 수년째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는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바로...‘제주항공’ 입니다!
제주항공의 생존전략, 오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TEP02. 이 기획이 어떤 변화를 가져왔나요? 혹은 가져오지 않았나요? (before-after)
우리 모두에게 2020년은 COVID19로 잊을 수 없는 해였는데요, 전체 경제가 위축되고 침체되었지만, 특히나 여행산업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도는 시국에 해외 여행뿐만 아니라 국내여행도 함부로 다니지 못하는 시기였죠.
오늘 살펴볼 기업인 제주항공의 당시 매출액 변화를 보면, 2020년의 매출이 전년 대비 약 70%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FSC 항공사의 경우 큰 항공기의 이점을 활용한 화물 사업을 통해 어느 정도의 수익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LCC 항공사의 경우 여전히 여객 사업으로 수익을 확보해야 했죠.
악재가 몰아치는 상황속에서, 제주항공은 소비자 심리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전략의 수립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했습니다.
<2021년> 국내선의 확대
2021년 여전히 COVID19의 영향은 강력했고, 해외 여행의 수요는 전혀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2500만명을 웃돌던 관광객 수가 250만명으로 뚝 떨어졌죠. 반대로 국내 여행 수요는 증가했습니다. 1년간 눌려 있던 여행 수요가 리스크가 적은 국내여행부터 풀리기 시작한 것이죠.

제주항공은 이를 예측하고, 국내 여행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실행했습니다.
1) 국내선 노선의 확대
2) 국내선 비즈니스 좌석 도입
제주항공은 늘어나는 국내 여행 수요에 맞추어 국내선 노선을 확대하고, 편수를 늘려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국내 LCC 중 가장 처음으로 국내선에 비즈니스 좌석(‘비즈라이트’)을 도입해 수익성까지 확보했습니다.
이 덕분에 제주항공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FSC 항공사를 제치고 국내선 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22년> 중단거리 노선의 확대
2022년 ‘위드코로나(With Covid19)’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며, 해외 여행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기 시작했는데요. 주목해야 할 점은 장거리 여행보다, 중단거리 여행지의 수요가 급증했다는 것입니다. 코로나 이후 침체되었던 경제가 온전히 회복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죠.
소비심리가 여전히 위축되어 있던 2022년, 제주항공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택했습니다
1) 중단거리 노선의 확장
2) 단일 항공기 운영을 통한 비용 효율화
수요가 많은 노선에서 LCC만이 할 수 있는 ‘비용 우위’ 전략, 즉 ‘정공법’을 택한 것이죠.
선택과 집중을 성공한 제주항공의 매출은 2022년부터 고공 행진 중입니다.

STEP03. 이 기획에 대한 본인의 결과 평가는? (승 – 무 – 패)
COVID19는 꾸준히 성장중이던 항공업계에 큰 변수였습니다. 단기간에 경영 실적에 막대한 타격을 주었죠.

큰 위기였지만, 제주항공은 이를 또 하나의 기회로 활용했습니다.
‘모두가 침체된 지금, 우리가 먼저 움직여 수요를 끌고 온다면?’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주항공이 잘하는 것, 즉 LCC만의 비용우위 정공법을 택한 것이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현재 제주항공은 FSC 항공사 아시아나의 뒤를 바짝 추격하며 LCC 업계 1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기상황에 소비자 심리를 읽어내 선제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낸 제주항공의 기획은,
완벽한 "승" 입니다.

STEP04. 내가 담당 기획자였다면, 가장 고심했을 부분은? (1가지 detail)
사실, 항공사에게 더 큰 수익이 되는 노선은 중장거리 노선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국내 타 LCC 항공사들은 코로나 이후 수익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중장거리 노선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데요. 제주항공에서도 당시에 분명 장거리 노선 진출 대해 생각해보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과연 중단거리 노선만으로 코로나 때의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까?’에 대해 깊게 고민했을 것입니다.
장거리 노선의 경우 비행시간이 길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조금 비싸더라도 ‘편안함’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FSC 항공사가 독점하고 있는 이유도, 큰 항공기와 서비스에서 비롯된 것이죠.
제주항공은 작은 항공기로 장거리 노선에 진출한다 해도 큰 메리트가 없을 것을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A380같은 대형 항공기를 매입한다 해도 과연 투자한 것 이상의 수익이 돌아올지에 대한 의문도 들었을 겁니다. 그래서 제주항공은 작은 수익을 ‘많이’ 내는 것에 집중한 것입니다.
STEP05. 위 기획 레퍼런스를 통해, 내가 얻은 인싸이트는?
외부적으로 위기 상황이 오면, 기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찾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혼란 속에서, 잃은 만큼 더 큰 성공을 거두기 위해 거대한 투자를 감행한다던가, 새로운 사업을 시도하는 등 과감한 선택을 하기가 쉬워지는 것 같습니다.
제주항공은 위기의 상황 속에서도 침착하게 ‘잘하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그리고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했습니다.
제주항공의 코로나 대응 전략은 과감한 선택만이 위기를 해결하는 방법은 아니라는 것, 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해준 레퍼런스였습니다.
기획자로서,
위 레퍼런스 기획은, 소비자 심리 변화를 반영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성공적인 기획으로 평가한다.
선택과 집중으로 위기 상황에서 날아오른 제주항공_끝.

'🎀서비스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마켓의 당근이 "당신의 근처"였다고?!?!, 당근마켓의 리브랜딩 (4) | 2024.06.01 |
---|---|
🚗중고 자동차도 저렴하게 구독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다고?_ 🚙현대 자동차 중고차 구독 서비스 기획 (3) | 2024.06.01 |
OTT에 치이고.. CGV에 치이고.. 롯데시네마 중꺾마 !! 👊 (4) | 2024.06.01 |
야, 아마존! 잘나간다고 깝치지마😡 우리 월마트가 있다!! (2) | 2024.06.01 |
??? : 올리브영이 고객을 편리하고 즐겁게 해줄 수 있다고?ㅋㅋ (2) | 202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