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안녕하세요! 크루 여러분 제 샐러디 기획안을 보러와주셔서 감사합니다.

STEP 01 . 나의 기획은 ‘ 누구 ’ 에게 필요한가요 ?

제가 소개해 드릴 샐러디는 샐러드,웜볼,랩 등 채소가 주된 음식을 파는 기타 과실ㆍ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입니다.
2013년 선릉점 1호점 오픈을 시작으로 2022년 300호점을 돌파한 성장세가 매우 강한 프랜차이점입니다.
사실 샐러디는 문제점이 크게 없습니다만..... 그러나 기획안이라는 것이 꼭 문제점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도 기획이라고 생각하기에 저는 샐러디가 앞으로 어떻게 더 성장할 수 있는지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그럼 [유닛1] [실무 기획]니즈의 파악 : 누구에게 어떤 기획이 필요한가? 시작하겠습니다!!
STEP 02 . 나의 기획은 ‘ 무엇 ’ 을 해결하나요 ?
2023년 매출액 368억, 독보적 1위기업이라기엔 너무 적다

샐러디는 현재 샐러드 업계에서 독보적 1위 사업자로 갈수록 성장하는 샐러드 시장에서 샐러디는 전국에 308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고 2위는 70여개로 2위와 엄청난 격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조: THE BELL 김예린 기자
샐러디는 2위기업과 4배이상의 매장 숫자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적인 예시로 1위업계인 샐러디(368억 매출)는 치킨업계 4위그룹 bhc(지난해 5300억 매출)에 비해 턱없이 낮은 매출을 보이고 있습니다.
샐러드 특성상 양은 적은데 가격은 비싸거나 동일


대한민국의 대표 외식물가 평균치와 샐러디 대표메뉴의 가격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해당자료를 보면 샐러디의 가격이 비슷한 것처럼 보이지만 시저치킨 샐러디가 6900원에 140g을 제공하는것에 비해 짜장면 한그릇 7300원에 600g이 평균이라는 것을 생각해보았을떄 샐러디의 가격은 거의최소2배에서 최대 4배 이상 비싸다고 볼 수 있습니다.
STEP 03 . 그 문제는 ‘ 왜 ’ 발생하였나요 ?
1위업체의 낮은 매출: 타 시장보다 작은 시장규모


비록 서로 품목이 다르지만 단적인 예시로 표에서 보듯 샐러드 시장규모는 치킨시장규모에 비해 매우 작은 규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샐러드 시장 규모 자체의 성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치킨 시장 규모에 비해서는 매우 작은 성장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높은 가격: 식재료 관리의 어려움
일반적으로 냉장상태의 채소의 유통기한은 2~3일이며 유통과정을 생각해보았을때 매장에서 채소를 수령하고 나서 팔기까지의 기한은 하루 남짓입니다.
또한 계절에 따라 가격의 변동성이 매우 커서 일관적인 원재료가격관리가 어렵습니다.
STEP 04 . 그 문제는 ‘ 어떻게 ’ 해결되나요 ?
높은 가격은 원재료 고유의 문제여서 이를 해결하기보다는 높은 가격을 소비자가 납득하게끔
작은 시장규모는 이번 기획을 통해 소비자들이 샐러디를 칼로리 적은 기업으로 인식하면서 더 큰 시장(헬스식단,다이어트)으로 진출
해당 문제점을 타파할 이번 기획의 핵심은 "의도적인 불편함"이용한 퀴즈입니다.
의도적인 불편함이란?
소비자에게 상품을 구매,이용하는데 있어서 일시적인 불편함을 준 다음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하여 해당 상품에 대해깊이 기억하게 되거나 긍정적인 가치를 제고시키는 것입니다. ex) 이케아 효과, 웃어야 열리는 냉장고, 문제를 풀어야 멈추는 알람 등 이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총 4가지입니다.
1.불편은 일시적이며 이익은 확실할 것.
2.이익이 당사자에게 필요할 것.
3.불편함은 과도하지 않을 것.
4.긍정적인 피드백이 있을 것.
그럼 이러한 의도적인 불편함을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까요?
다음은 구매버튼 클릭시 자동으로 팝업되는 문제예시입니다.

고객은 샐러디 키오스크를 통해 상품을 구매 및 결제 클릭시 자동으로 해당퀴즈가 팝업되며 무조건 해당 퀴즈를 풀어야 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문제는 매우매우매우 쉽고 짧아야 하며 정답 유무에 상관없이 무조건 할인해택(300원정도?,다른 해택이 있어도 되지만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해택이 제공되어야함) 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다음은 퀴즈 정답 예시입니다.

고객은 해당 퀴즈를 해결함으로써
1.불편은 일시적이며 이익은 확실할 것.
상품 결제시 10초정도의 텀이 생기지만 이로 인해 확실하고 즉각적인 할인해택이 들어감
2.이익이 당사자에게 필요할 것.
할인해택은 작지만 당사자에게는 확실한 이득이 됨
3.불편함은 과도하지 않을 것.
주관식이 아닌 o.x문제를 통해 불편함을 최소화 또한 답이 틀려도 할인해택이 적용됨
4.긍정적인 피드백이 있을 것.
현재 자신이 해당 메뉴를 구매함으로써 칼로리를 적게 섭취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킴.
소비자는 해당 기획을 통해 샐러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그리고 할인해택과 칼로리를 적게 섭취한다는
"확실한 인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기획의 제일 큰 장점은 비용이 적되 효과는 확실하다 입니다.
STEP 05 . 이 문제가 해결되면, 이후 ‘ 어떤 효과 ’ 가 창출되나요 ?
증가하는 다이어트,헬스 관심도
14일 한국채식연합에 따르면 국내 채식 인구수가 2019년 150만 명에서 2024년 25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비건 식당 및 카페를 이용하는 사람은 5년 전 대비 163% 증가했다.
GS25는 올해 1분기 제로 음료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0.8%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3년
2018년 813억 원이던 국내 단백질 식품시장 규모는 2021년 3364억 원으로 2018년보다 4배 이상 성장했다.
SSG닷컴에 따르면 3월27일부터 지난달 5일까지 열흘간 체중조절식이나 다이어트 관련 건강기능식품 매출이 전월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운동할 때 섭취하는 단백질 보충제 매출은 50% 늘었고, 식사 대용으로 찾는 단백질바나 시리얼바(110%), 저칼로리 음료(15%), 닭가슴살(20%)도 판매 호조를 보였다. 2023년
CU의 경우 제로 음료 매출이 2020년부터 연평균 149%, 코리아세븐의 세븐일레븐은 연평균 150%의 신장세를 나타냈다. 이마트24도 1분기 대비 제로 음료 매출이 7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2023년
해당 뉴스기사를 통해 현재 국내 다이어트, 헬스 시장의 관심도가 나날히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효과1) 가격은 비싸지만 그만큼 확실하게 소비자가 칼로리를 적게 섭취하고 있다는 인식,
효과2) 다른 음식과 비교하며 샐러디의 우수성을 각인
효과3) 칼로리 적은 샐러디로 인식 > 성장하는 다이어트,헬스 시장 고객들 유입
해당기획을 통해 샐러디는 다이어터와 헬스인에게 건강한 샐러드 브랜드로 인식될 것이고 나아가 샐러드 시장보다 더 큰 시장으로 진출하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STEP 06 . 그래서 ! 기획의 목표 는 이렇습니다.
<기획의 목표 카드>
1) 샐러드기업 '샐러디'의
2) '의도적인 불편함을 유도하는 퀴즈' 를 통해
3) 2024년의 3개월 동안
4) 샐러드 시장보다 가파르게 증가하는 다이어트,헬스시장의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여
5) 현재 매출 338억원보다 2배 증가한 700억원을 목표로 한다
기획자로써,
고객들이 키오스크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의도적인 불편함을 유도하고,
역설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상품에 대해 확실한 만족감을 주며
나아가 나날히 증가하는 다이어트,헬스시장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첫걸음으로 평가한다.
'🔯브랜딩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떼는 핸드폰📞하면 “SKY”였다...⭐추억의 핸드폰이 아닌 무선 헤드폰으로의 귀한_스카이랩 (4) | 2024.07.14 |
---|---|
탐앤탐스 블랙의 새로운 identity 기획안 타진 (1/2) (7) | 2024.07.13 |
제미나이, "여전"할 것인가 "역전"할 것인가. (3) | 2024.07.13 |
헤이딜러!! 하락하는 중고차 판매율을 막아라!! 🚗😄 (4) | 2024.07.13 |
♠️ 아디다스, 희소성의 황제로 자리매김하라 👑 (9)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