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 코드: PXE - 102, 필수형
[유닛 2] [실무기획] 내용의 구조화: 이 기획은 어떻게 구조화되는가?
지난 유닛에서 스포티파이의 국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UI/UX, 적정 타겟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습니다.
>>‘Imase의 Night Dancer’를 흥얼거릴 수 있다면, 스포티파이로 오세요 !
이번 유닛에서는 서브컬쳐 팬층을 조명하여 페스티벌과 연계된 서비스 기획을 위주로 구조화하였습니다. 포스트코로나로 활발해진 공연과 세분화된 페스티벌과 연계된 서비스를 통해 다른 플랫폼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STEP 1. 내 기획은 ‘어디까지’를 범위로 하나요? (boundary)
1-1. 기획의 ‘슬로건’과 ‘이미지’
순간의 음악 추억 다이어리, "Spotify SPOT DIARY"
1-2. 기획 내용 정의 핵심 사항 3가지
1. 이 기획은 본인의 취향에 맞는 공연과 페스티벌을 매년 찾아가는 20~30대를 타겟팅하여 공유 플레이리스트에 참여하도록 합니다. 해당 플레이리스트는 동일 장소, 시간대에 있는 사용자들이 올리는 숏폼 컨텐츠를 토대로 생성됩니다. 'Soundhound'[1]와 같은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신규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한 오프라인 홍보 방안을 포함합니다.
3. 페스티벌과 공연 비수기(ex.겨울)에도 사용자를 리텐션 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합니다.
[1] Soundhound: Soundhound.Inc에서 개발한 음성인식 기반 음원 서치 어플. 라이브 음원, 흥얼거리는 소리로도 음원 찾기 가능
1-3. 이번 기획에서 제외할 내용
1. 요금제
2. 기술개발: 음성인식 기술 API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 설계 사항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3. 기존 운영 시스템: 스포티파이의 기존 인스타그램, 플레이리스트, UI/UX에 대한 변경 기획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STEP 2. 내 기획을 구성하는 ‘구조 1단계’는 어떻게 되나요?(기획 내용의 block화)
[TB 구체화]
TB01. [서비스] : 사용자는 메인 서비스(SPOT DIARY)를 어떤 방식으로 경험하는가?
- TB01에서는 서비스의 UX 시나리오와 와이어프레임을 설정합니다.
TB02. [홍보] : 서비스 시행을 위한 초기 사용자는 어떻게 모으고, 서비스를 어떻게 홍보할 것인가?
- TB02에서는 서비스 신규 가입자 확보를 위한 초기 홍보 전략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TB03. [리텐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어떻게 리텐션 할 것인가?
- TB03에서는 해당 서비스로 유입된 신규 가입자의 고정 사용자로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한다.
STEP 3. 내 기획은 어떤 ‘위계’와 ‘하위구성’으로 이루어지나요? (위계 2단계와 그 이하-under block:UB)
STEP 2에서 설정한 TB를 바탕으로 한 UB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TB 01. [서비스]
TB 02. 홍보
서울 코믹 월드, 에어하우스, 잇츠 더 쉽 등 세분화된 페스티벌에 대한 정보 공유를 통해 서브 컬쳐 팬층을 확보하도록 합니다.
TB 03. 리텐션
Wrapped는 매년 12월 초에 출시되는 캠페인으로 Spotify 사용자는 지난 1년간 플랫폼에서의 활동에 대한 데이터 편집을 다양한 편집과 아티스트의 영상편지 컨텐츠 등을 포함하여 체험할 수 있습니다. [TB03. 리텐션] 에서는 Wrapped의 빈도와 종류를 늘려 사용자의 색다른 경험을 추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포티파이의 탁월한 개인화 큐레이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내년 페스티벌의 라인업을 토대로 취향에 맞게 믹스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합니다.
STEP 4. 내 기획은 ‘어떤 일정’으로 진행되나요?(업무 일정/플래닝)
SPOT DIARY는 본격적인 5월 축제 시즌이 시작되기 2개월 전, 3월 출시를 목표로 합니다. 출시 직후, 25년 3월 무료체험 3개월 이벤트를 시행하여, 축제시즌부터 서비스의 수익화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오프라인 홍보 TB에서는 축제의 주최 측과 6개월 전부터 컨택하여 부스 운영과 홍보 제휴에 대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예상 타임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획자로서, 위 기획은 스포티파이의 새로운 타겟층을 확보하기 위한 서비스를 론칭하여 국내 점유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한다.
추억 속 그 음악이 잊혀지기 전에, 스포티파이에 기록하기🔖_ 끝
'🔯브랜딩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대는 에이스라구요? 정말요?🛏 (6) | 2024.04.06 |
---|---|
⭐️2030이여 돌아와라, 삼성전자가 기다린다⭐️ (4) | 2024.04.06 |
형이 왜 거기서 나와..? (9) | 2024.04.06 |
'프리미엄 디저트? 스초생이?!' 애매~한 투썸 🍰 (9) | 2024.04.06 |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아니 LCK! (6) | 2024.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