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유닛③][실무 기획]디테일의 확충 : 이 기획은 어떻게 현실화 되는가?
커리큘럼 코드명 : PXE-103, 필수형
안녕하세요! 서비스팀 최민서입니다.😋
저는 카카오맵의 외국인 사용자 수 증가를 위한 기획을 3주차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닛1️⃣] 카카오맵이 전하는 Welcome to Korea
[유닛2️⃣] 카카오맵이 전하고픈 Welcome to Korea
지난 유닛들을 기본으로 설명될 예정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일단, 제가 하고 싶은 기획을 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서 굉장히 기쁩니다.☺️
피드백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주차는 지난 주차에 설정한 블록트리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설정을 위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STEP 01. 내 기획 내용을 디테일하게 설정하자 ! : 블록트리 세부 '전술 채우기 (Towarding)
지난 주차에 설정한 블록트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 주차에는 🟡 TB03. 사용자 피드백🟡을 중심으로 구체화를 진행해보겠습니다.
🔴TB01. 영어 인터페이스 개선🔴,🟠TB02. AI 번역🟠는 지난 주차 기획안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제가 고민한 부분은 구체적으로 어디에 버튼을 만들어 사용자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을 수 있을 수 있을지였습니다.
🟡TB03. 사용자 피드백-03.01. 고객센터 -> 사용자 피드백🟡
❗️전체 피드백❗️
현재 카카오맵에서 고객센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메뉴버튼을 누르고, 제일 아래 부분에 Settings을 누르면, 제일 아래 부분에 Support에 있는 Contact Us를 통해 의견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지도의 Feedback 버튼의 위치와는 굉장한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전체 피드백 버튼은 다음 위치에 위치시키고자 합니다.
카카오맵을 실행하면 나타나는 메뉴입니다.
화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Share Location 버튼이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을 Feedback으로 변경합니다.
🟡TB03. 사용자 피드백-03.02. 각 메뉴, 세부 정보 별 피드백 버튼 구성🟡
❗️세부 피드백❗️
AI번역의 오류, 오번역 등의 피드백은 해당 내용에 배치된 메뉴를 통해 수집합니다.
그러면 사용자는 쉽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는 오류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 오류 발생 지점의 통계를 통하여 서비스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TEP 02. 내 기획 내용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 : 블록트리 우선순위 정하기 (Prioritizing)
1) [고객 제안용 기준] 고객의 관점에서 가장 매력적으로 보이는 블록과 포인트 🔮
1순위 : 🔴TB01. 영어 인터페이스 개선-UB01.03. 여행정보 입력🔴
간단한 여행정보 입력을 통해 카카오맵 사용자는 관련 추천 정보와 여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 블록은 경쟁사인 네이버지도와의 차별성을 위해 구성된 블록으로 외국인 사용자를 네이버지도가 아닌 카카오맵을 사용하게끔 합니다.
2순위 : 🔴TB01. 영어 인터페이스 개선-UB01.01. 모든 메뉴 영어화🔴
외국인 사용자의 접근을 가로막았던 가장 큰 부분인 영어 인터페이스 개선을 통해 사용성과 접근성을 높입니다. 카카오맵이 외국인 사용자들의 선택지 중 하나로 자리잡게 합니다.
3순위 : 🟠TB02. AI 번역-02.04. 리뷰/블로그 리뷰🟠
해외여행을 할 때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은 ’오늘은 어디 가서 뭘 먹지‘입니다. 음식점을 찾고 어떤 음식들이 맛있는지는 대부분 리뷰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블록이 해결이 된다면 사용자는 여행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 [실제 진행용 기준] 실무 기획자인 내 관점에서 가장 ‘유의해야 하는’ 블록과 포인트 ⚠️
1순위 : 🟠TB02. AI 번역🟠
해당 기획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결국 얼마나 AI번역이 완벽하게 되느냐가 사용자 경험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2순위 : 🔴TB01. 영어 인터페이스 개선-UB01.03. 여행정보 입력🔴
해당 블록은 경쟁사인 네이버지도와의 차별점을 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기획자에게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네이버지도가 아닌 카카오맵이어야 하는 이유를 제공할 것입니다.
3순위 : 🟡TB03. 사용자 피드백🟡
1순위인 AI번역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피드백이 필수적입니다. 사용자 피드백은 카카오맵 내에서 AI번역의 완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카카오의 미래 사업에도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STEP 03. 내 기획 내용은 이렇게 완성된다! : 블록트리 완료 (Conclusion)
Core Value Card ; CVC
'외국인 사용자를 위한 카카오맵의 서비스 개선'은 외국인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독보적인 서비스를 통해 외국인 사용자 수 증가를 목표로 한다.
현재 외국인 비친화적인 서비스를 대폭 개선하여 네이버지도를 대체할 한국 관광 필수 어플리케이션으로 포지셔닝 할 수 있게 합니다. 또, 여행정보 입력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정보 제공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경쟁사인 네이버지도와는 차별점을 갖게 합니다.
이는 외국인 사용자 수 증가와 더 나아가 카카오맵 전체 사용자 수 증가를 기대합니다.
'🎀서비스팀 > 🦄[일반] 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란만장의 첫걸음👢 (0) | 2025.03.29 |
---|---|
AI 에이전트도 UX 잘못 설계하면 외면받을 수 있다고??🤖 (1) | 2025.03.29 |
5000원부터 초고가 명품🚀까지 캐치유로 CATCH🎯 (0) | 2025.03.29 |
소프트웨어 구독시장의 포문을 연 MS의 구독형 서비스 전략📢 (0) | 2025.03.29 |
글씨✍️ VS 이미지📷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