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평가를 반영한 최종 결과는, 차주 (화)요일 공표예정입니다! 😊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진행 중인 투표

      종료된 투표

      빈 제목

        팀블로그 멤버

        비멤버

        🔥앗뜨거 실시간🔥

        💬재잘재잘💬

        이제 뭘 해야될까 (제타 대화문구 추천 AI 기획 구조화)

        by 박소정 | 충북대 | 사회학과 | UX 2024. 7. 13.
        본 커리큘럼은, 팔랑크스 클럽을 후원하는 실무자 후원회에서 작성/소유하고 있는 사유물로서,
        정식으로 팔랑크스 클럽(동아리)의 절차에 따라, 시즌을 등록한 크루 외에는 제공, 안내되지 않습니다.

        허가되지 않는 배포/재가공/캡처 등이 이루어질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손해배상 및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 바랍니다.
        (본 사항은 법령 자문에 따라 '모두' 가 볼 수 있는 명시적 근거를 설립하는 과정임을 재명기합니다.)

        이전 기획 요약 

        AI 대화 서비스 "제타(Zeta)"의 사용자 리뷰 분석 결과, 많은 사용자들이 검열로 인한 대화 중단에 불만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기획을 통해 대화 끊어짐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대화 문구 추천 AI를 기획하고자 합니다.

         

        이전 기획안 직접 보러가기

        유닛 1

         

        Zeta is watching you 😶

        STEP 01 .   나의 기획은 ‘ 누구 ’ 에게 필요한가요 ?  제타(Zeta),  AI 챗봇과 함께 펼치는 상상의 나래   제타는 유저가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와 함께 대화할 수 있는 ai 챗봇 서비스입니다.

        phalanx-club.tistory.com


        STEP 01 .   내 기획은 ‘ 어디까지 ’ 를 범위로 하나요? (boundary)

        이번 기획의 슬로건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상상의 나래"입니다. 제타를 이용하는 유저들이 AI와의 대화 중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자유롭게 상상의 나래를 펼치길 바라며 다음과 같은 슬로건을 제시합니다.

         

        기획의 핵심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획의 핵심 사항

        1. 본 기획은 제타 AI 캐릭터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나가고 싶어하는 유저 🙍‍♀️ 를 대상으로한다.

        2. 본 기획은 제타 AI 캐릭터와 대화를 이어나가고 싶지만, 🤷‍♀️어떻게 대화를 이어나가야 할 지 고민하게 되는 문제 🤷‍♀️를 완화한다.

        3. 본 기획은 2번에서 언급한 🤖문제를 개선하는 AI 서비스 구축 🤖 을 목표로한다.

         

         

        그리고 위 핵심사항을 바탕으로 기획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결정했습니다.

        AI 개발 과정과 기획 범위

         

        따라서 이번 기획에서 다루지 않을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획에서 다루지 않을 사항

        1. 본 기획에서 AI 개발에 필요한 기술 세부사항은 다루지 않는다.

        2. 본 기획에서는 모델 성능 검증과 관련된 테스트만 다룬다. AI 개발과정 중 테스트(코딩 단위 테스트, 내부 결합 테스트, 외부 결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는 본 기획에서 제외한다.

        3. 본 기획에서 배포 이후 AI 운영 및 보수에 대한 부분은 다루지 않는다.

         

        STEP 02 .    내 기획을 구성하는 ‘ 구조 1단계 ’ 는 어떻게 되나요? (기획 내용의 block화) 

        STEP 01을 바탕으로 TB(Top Block)를 위와 같이 구성해보았습니다. 각 TB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TB 01.00 서비스 기획

        어떤 특성을 가진 유저어떤 문제를 해결할지 정의하는 TB입니다.

         

        TB 02.00  요건 정의

        AI를 제작해야 할 때 어떤 기능이 포함되어야 할 지를 정의하는 TB입니다.

         

        TB 03.00  테스트

        AI개발 후 성능 검증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정의하는 TB입니다. AI의 어떤 요소를 검증할지, 어느정도의 성능을 보여야 AI가 올바르게 개발되었다고 판단할 것인가를 정의합니다.

         

        STEP 03 .  내 기획은 어떤 위계 '  하위 구성 ' 으로 이루어지나요? (위계 2단계와 그 이하-under blobk : UB)

        TB와 연결되는 UB(Under Block)을 위와 같이 정의했습니다. UB의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TB 01.01 유저 인터뷰

        유저 인터뷰 준비 자료와 결과를 정리하는 TB입니다. 인터뷰 설명서, 인터뷰 동의서, 인터뷰 질문지, 인터뷰 결과 정리본이 결과물로 도출됩니다.

         

        TB 01.02 유저 정의

        유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AI 서비스를 사용할 유저가 누구인지 정의합니다. 유저 정의는 Persona*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Persona: 서비스 제공할 고객을 가상의 인물로 표현한 것

         

        TB 01.03 과제 정의

        유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AI 서비스를 통해 해결해야할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합니다.

         

        TB 02.01 프론트엔드 기능 요건 정의

        실제 사용자에게 어떤 기능을 제공할 지 정의합니다. 산출물은 Wireframe*User Flow* 입니다.

        *Wireframe: 서비스의 화면과 핵심 기능을 간단한 도형과 선으로 나타낸 것
        *User Flow: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

         

        TB 02.02  AI 기능 요건 정의

        AI를 통해 얻고싶은 것이 무엇인지, 어떤 데이터로 AI를 학습시킬 것인지, 데이터 전처리*는 어떤 방식으로 할지, AI는 어떻게 학습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데이터 전처리: 원본 데이터를 AI가 처리하기 용이한 방식으로 가공하는 것

         

        TB 02.03  백엔드 기능 요건 정의

        개발에 필요한 API*를 정의합니다.

        *API: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미리 필요한 함수(하나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들을 만들어서 모아놓은 것

         

        TB 03.01 PoC*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개념이 정말 개발 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한 계획을 세웁니다. 검증 목표, 검증 범위, 무엇을 검증할 것인지, 검증을 위한 준비 작업, 검증 스케줄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PoC: 'Proof of Concept'의 약자로, 신기술을 도입하기 전 이를 검증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합니다.

         

        STEP 04 .   내 기획은 ' 어떤 일정 ' 으로 진행되나요? (업무 일정/플래닝)

        제 기획의 일정은 아래와 같이 타진 전 / 타진 후로 구분됩니다.


        기획자로서, 위 구조도와 일정 차트는 제타 대화문구 추천 AI 기획 실현을 위한 밑바탕이라고 평가한다. 

         

        이제 뭘 해야될까 (제타 대화문구 추천 AI 기획 구조화)_끝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